[비즈니스포스트] 농심 목표주가가 줄줄이 낮아졌다.
해외사업 성과를 끌어올리기 위해 광고비 지출 등이 늘어나면 수익성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18일 증권가는 농심 목표주가를 연달아 하향조정했다.
이경신 iM증권 연구원은 이날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5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내렸다. 투자의견은 기존 매수(BUY)를 유지했다.
이경신 연구원은 “국내외 높은 제품 충성도에 따라 외형 성장을 향한 기대는 다른 음식료 카테고리와 비교해 견조하지만 해외의 확장 목적으로 마진 부담이 이어지는 기조가 다소 아쉽다”며 “관련 영업실적 추정치와 멀티플(목표배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내린다”고 설명했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도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49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하향조정하면서 “신라면툼바의 입점 속도가 지연되고 있는 점을 반영해 202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약 20% 하향조정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가격 인상 효과와 신라면툼바의 글로벌 흥행 여부가 주자 재평가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내다봤다.
농심은 하반기부터 국내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하고 미국에서도 10%대 가격 인상과 신라면툼바의 주요 유통채널 입점 확대 등에 힘입어 수익성이 나아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유럽에서는 거래선 정비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2026년 초부터 성장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회사의 노력이 실적에 단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해외 성장동력 강화를 위한 농심의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마케팅비와 입점 수수료 등 비용 부담이 동반되는 구간으로 전사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며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유통채널 확장을 기반으로 실적 가시성이 확보되는 시점부터 주가가 반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예상했다.
정 연구원 역시 이날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49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내렸다.
직전 거래일인 14일 농심 주가는 38만1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남희헌 기자
해외사업 성과를 끌어올리기 위해 광고비 지출 등이 늘어나면 수익성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됐다.

▲ 농심 목표주가가 줄줄이 하향조정됐다.
18일 증권가는 농심 목표주가를 연달아 하향조정했다.
이경신 iM증권 연구원은 이날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55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내렸다. 투자의견은 기존 매수(BUY)를 유지했다.
이경신 연구원은 “국내외 높은 제품 충성도에 따라 외형 성장을 향한 기대는 다른 음식료 카테고리와 비교해 견조하지만 해외의 확장 목적으로 마진 부담이 이어지는 기조가 다소 아쉽다”며 “관련 영업실적 추정치와 멀티플(목표배수)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내린다”고 설명했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도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49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하향조정하면서 “신라면툼바의 입점 속도가 지연되고 있는 점을 반영해 2026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약 20% 하향조정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가격 인상 효과와 신라면툼바의 글로벌 흥행 여부가 주자 재평가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내다봤다.
농심은 하반기부터 국내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하고 미국에서도 10%대 가격 인상과 신라면툼바의 주요 유통채널 입점 확대 등에 힘입어 수익성이 나아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유럽에서는 거래선 정비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고 있어 2026년 초부터 성장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회사의 노력이 실적에 단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해외 성장동력 강화를 위한 농심의 노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마케팅비와 입점 수수료 등 비용 부담이 동반되는 구간으로 전사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며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유통채널 확장을 기반으로 실적 가시성이 확보되는 시점부터 주가가 반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예상했다.
정 연구원 역시 이날 농심 목표주가를 기존 49만 원에서 45만 원으로 내렸다.
직전 거래일인 14일 농심 주가는 38만1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