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셀트리온이 미국 공장을 인수하기로 한 결정을 놓고 긍정적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이명선 DB증권 연구원은 30일 리포트를 통해 “셀트리온이 미국 현지 공장 인수를 성공한다면 생산 비용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분석했다.
셀트리온은 29일 공시를 통해 미국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수 공장은 미국 내 글로벌 제약사가 소유한 것으로 10월초 본계약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
셀트리온은 올해 안에 인수를 마무리해 운영을 시작할 계획을 세웠다.
이명선 연구원은 “인수공장과 인수 규모는 비공개지만 투자규모는 약 7천억 원”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이번 결정은 미국 정부의 의약품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원은 “셀트리온이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미국 시장 선점을 위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며 “미국 현지 공장이 외부 의약품 위탁생산보다 원가 차원에서 더 저렴하다는 점에서 인수 결정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내다봤다. 장은파 기자
이명선 DB증권 연구원은 30일 리포트를 통해 “셀트리온이 미국 현지 공장 인수를 성공한다면 생산 비용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분석했다.

▲ 셀트리온(사진)의 미국 공장 인수 결정을 놓고 비용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셀트리온은 29일 공시를 통해 미국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수 공장은 미국 내 글로벌 제약사가 소유한 것으로 10월초 본계약 진행 여부가 결정된다.
셀트리온은 올해 안에 인수를 마무리해 운영을 시작할 계획을 세웠다.
이명선 연구원은 “인수공장과 인수 규모는 비공개지만 투자규모는 약 7천억 원”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이번 결정은 미국 정부의 의약품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원은 “셀트리온이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 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만큼 미국 시장 선점을 위해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며 “미국 현지 공장이 외부 의약품 위탁생산보다 원가 차원에서 더 저렴하다는 점에서 인수 결정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내다봤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