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관세갈등을 해결할 힘을 갖추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24일 CNBC 등 미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최근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직접적 영향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부과되는 관세의 간접적 어려움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반도체 생산, 멕시코 내 자동차·전자제품 생산, 캐나다 내 한국 배터리 생산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다만 한국 기업들은 최근 5년 동안 공급망 다변화에 힘써왔고 특히 정치적 문제 등에 대비해 중국 의존도를 줄여왔다”며 “경쟁국 기업들과 비교해 한 발 빠르게 통상갈등 상황을 대비해온 만큼 관세문제를 해결할 힘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조정에 관해서는 아직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관세갈등이 심해질지, 약해질지 또 국내 재정정책 추진 상황 등을 봐야하기 때문에 미리 짐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혜린 기자
이 총재는 24일 CNBC 등 미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 비중이 높은 만큼 최근 미국과 중국의 통상 갈등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직접적 영향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부과되는 관세의 간접적 어려움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CNBC 등 미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에 미국의 관세정책 영향이 크겠지만 한국 기업들이 공급망 다변화 등으로 준비를 잘해왔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면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반도체 생산, 멕시코 내 자동차·전자제품 생산, 캐나다 내 한국 배터리 생산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다만 한국 기업들은 최근 5년 동안 공급망 다변화에 힘써왔고 특히 정치적 문제 등에 대비해 중국 의존도를 줄여왔다”며 “경쟁국 기업들과 비교해 한 발 빠르게 통상갈등 상황을 대비해온 만큼 관세문제를 해결할 힘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 조정에 관해서는 아직 답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관세갈등이 심해질지, 약해질지 또 국내 재정정책 추진 상황 등을 봐야하기 때문에 미리 짐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