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선에 출마했을 때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등 국민의힘 주요 대선주자 4명을 상대로 모두 승리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원씨앤아이가 12일 발표한 이재명 대표와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여권 대선 주자 4명의 차기 대선 가장대결 조사 결과 이 대표가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앞섰다.
이 대표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대선 가상 양자대결은 이 대표 46.1%, 김 장관 34.2%로 집계됐다. 두 사람의 지지도 격차는 11.9%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이 대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김 장관을 상대로 더 많은 지지를 얻었다. 보수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에서는 이 대표 38.8%, 김 장관 35.8%로 오차범위 안이었다.
연령별로도 20대부터 50대까지 이 대표 지지도가 김 장관보다 높았으며 60대는 이 대표(39.9%)와 김 장관(39.7%)이 비슷했다. 70세 이상은 김 장관이 43.0%로 이 대표(35.0%)를 오차범위 밖으로 앞섰다.
이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가상 대결은 이 대표 45.0%, 오 시장 27.6%로 조사됐다.
이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의 대결을 가정했을 때에는 이 대표 45.6%, 홍 시장 25.5%로 나타났다. 이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의 가상 양자대결 조사는 이 대표 45.3%, 한 전 대표 19.0%였다.
모든 가상 양자 대결 조사에서 이 대표 지지도가 45% 안팎을 기록한데 반해 보수진영의 대선주자들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만 30%대를 기록했다. 보수진영 후보에 따라 보수층 지지 집결도가 변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자 수는 보수 623명, 중도 820명, 진보 432명으로 보수성향의 응답자가 진보성향의 응답자보다 191명 더 많았다.
이번 조사는 조원씨앤아이가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8일부터 1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무선(100%)·RDD(임의전화걸기)·ARS(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2025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림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
조원씨앤아이가 12일 발표한 이재명 대표와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여권 대선 주자 4명의 차기 대선 가장대결 조사 결과 이 대표가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앞섰다.
![[조원씨앤아이] 이재명, 국민의힘 대선주자 4명과 가상대결서 모두 앞서](https://www.businesspost.co.kr/news/photo/202502/20250212110545_34745.jpg)
▲ 조원씨앤아이가 12일 발표한 차기 대선 가상 양자대결 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민의힘 주요 대선주자들을 모두 앞섰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12일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표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대선 가상 양자대결은 이 대표 46.1%, 김 장관 34.2%로 집계됐다. 두 사람의 지지도 격차는 11.9%포인트로 오차범위 밖이다.
이 대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역에서 김 장관을 상대로 더 많은 지지를 얻었다. 보수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에서는 이 대표 38.8%, 김 장관 35.8%로 오차범위 안이었다.
연령별로도 20대부터 50대까지 이 대표 지지도가 김 장관보다 높았으며 60대는 이 대표(39.9%)와 김 장관(39.7%)이 비슷했다. 70세 이상은 김 장관이 43.0%로 이 대표(35.0%)를 오차범위 밖으로 앞섰다.
이 대표와 오세훈 서울시장과의 가상 대결은 이 대표 45.0%, 오 시장 27.6%로 조사됐다.
이 대표와 홍준표 대구시장의 대결을 가정했을 때에는 이 대표 45.6%, 홍 시장 25.5%로 나타났다. 이 대표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의 가상 양자대결 조사는 이 대표 45.3%, 한 전 대표 19.0%였다.
모든 가상 양자 대결 조사에서 이 대표 지지도가 45% 안팎을 기록한데 반해 보수진영의 대선주자들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만 30%대를 기록했다. 보수진영 후보에 따라 보수층 지지 집결도가 변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의 이념성향별 응답자 수는 보수 623명, 중도 820명, 진보 432명으로 보수성향의 응답자가 진보성향의 응답자보다 191명 더 많았다.
이번 조사는 조원씨앤아이가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8일부터 1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무선(100%)·RDD(임의전화걸기)·ARS(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2025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림가중)가 부여됐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