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홈쇼핑이 짧은 시간에 고객을 사로잡자는 취지에서 선보인 숏폼 서비스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지난해 6월 선보인 숏폼 서비스 ‘숏핑’ 재생 수가 7개월 만에 300만 건을 넘었다고 21일 밝혔다.
 
롯데홈쇼핑 "숏폼 서비스 재생 수 300만 건 넘어서, 구매 고객도 2배 증가"

▲ 롯데홈쇼핑이 지난해 6월 선보인 숏폼 서비스 '숏핑'의 재생 후가 서비스 론칭 이후 7개월 만에 300만 건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롯데홈쇼핑>


숏핑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은 숏핑을 선보였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2배 증가했다.

롯데홈쇼핑은 ‘시성비(시간 대비 효율)’를 추구하는 고객 니즈에 맞춰 60분 분량의 TV홈쇼핑 인기 방송과 히트상품 방송을 30초로 압축한 콘텐츠 서비스 ‘숏핑’을 지난해 6월부터 선보이고 있다.

모바일 앱 메인 화면 하단에 배치해 고객 접근성을 높였으며 간단하게 위아래로 화면을 쓸어 1분 안에 10개 이상의 상품 영상을 살펴볼 수 있다고 롯데홈쇼핑은 설명했다.

서비스를 선보인 뒤 현재까지 누적 사용자 수는 80만 명이다. 숏핑 서비스를 도입한 뒤 사용자들의 앱 체류시간은 20% 늘었다.

롯데홈쇼핑은 지난해 10월 영상 속 음성과 시각 정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자동으로 숏폼을 제작하는 시스템도 도입했다. 도입 이후 매달 제작할 수 있는 숏폼 콘텐츠 수는 기존보다 7배 이상 늘었고 제작 시간은 절반으로 줄었다.

인공지능으로 제작한 숏폼 콘텐츠는 수작업으로 편집한 영상과 비교해 상품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도 2배 이상 높았다.

롯데홈쇼핑은 앞으로 상품 등록과 콘텐츠 업로드 등 숏폼 운영의 모든 영역을 자동화해 매월 600건 이상의 새 콘텐츠를 선보일 예정이다.

김연수 롯데홈쇼핑 디엑스(DX)부문장은 “쇼핑에서도 효율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며 유통가에서 숏폼 콘텐츠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며 “롯데홈쇼핑이 집중하고 있는 숏폼 운영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고객 니즈에 맞춰 콘텐츠를 다양화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해 숏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