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야당이 법안을 일방적으로 통과시키면 윤석열 대통령에게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강력하게 건의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추 원내대표는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회정치 정상복구 의원총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이 일방 독주로 엉터리 법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키면 집권 여당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대통령에 재의요구권 행사를 강하게 요청할 것이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추경호 "야당 법안 일방적 통과시키면 대통령에 거부권 강력 건의"]()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서 여야합의 없이 처리한 법안들을 악법으로 규정하면서 최소한의 정치적 방어를 위해 거부권을 건의했다는 점도 짚었다.
추 원내대표는 "그동안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들은 여야 합의 없이 단독으로 처리되면서 종국적으로 국민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악법들이었다"며 "거부권은 민생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권이었던 셈이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과거보다 많다고 하지만, 이는 거대 야당의 의회독주의 결과물이다"며 "거부권 행사 건수는 민주당의 의회독재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고 덧붙였다.
국회운영을 두고도 독단적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추 원내대표는 "반쪽 의장이 만들어낸 반쪽 국회가 브레이크 없는 폭주를 시작했다"며 "최근 민주당의 입법을 보면 제정신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조장우 기자
												         
													        
															
															
														
																
															
															
																													
															
															
															
														
															
															
															
														
											             
                        
                    추 원내대표는 1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회정치 정상복구 의원총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이 일방 독주로 엉터리 법안을 본회의에서 통과시키면 집권 여당으로서 책임감을 갖고 대통령에 재의요구권 행사를 강하게 요청할 것이다"고 말했다.
 
▲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참석한 의원들과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에서 여야합의 없이 처리한 법안들을 악법으로 규정하면서 최소한의 정치적 방어를 위해 거부권을 건의했다는 점도 짚었다.
추 원내대표는 "그동안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들은 여야 합의 없이 단독으로 처리되면서 종국적으로 국민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악법들이었다"며 "거부권은 민생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방어권이었던 셈이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가 과거보다 많다고 하지만, 이는 거대 야당의 의회독주의 결과물이다"며 "거부권 행사 건수는 민주당의 의회독재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다"고 덧붙였다.
국회운영을 두고도 독단적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추 원내대표는 "반쪽 의장이 만들어낸 반쪽 국회가 브레이크 없는 폭주를 시작했다"며 "최근 민주당의 입법을 보면 제정신이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조장우 기자

 
                                 
                                 
                                 
                                 
                                 
                                 
                                ![[미디어토마토] 서울시장 가상 1대1 대결, 오세훈 46.8% VS 박주민 42.0%](https://businesspost.co.kr/news/photo/202510/20251031111357_4281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