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키움증권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올해 실적 개선이 전망되는 데도 주가는 역사적 저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키움증권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3만 원을 유지했다.
키움증권 주가는 전날 8만5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키움증권은 플랫폼 증권사로서 리테일(소매금융) 시장지배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하루평균 거래대금 회복으로 최대 수혜를 볼 것”이라며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바라봤다.
그러면서 “시장 우려와 달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1조 원 미만이고 선순위 채권 비중도 높아서 차후 손실 우려도 제한적이다”고 덧붙였다.
7월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20조 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키움증권은 올해 지배주주 순이익 755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키움증권의 지배주주 순이익은 2021년 9040억 원에서 2022년 5070억 원으로 감소했는데 올해 반등하는 것이다.
당장 2분기에는 지배주주 순이익 1554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43.2% 증가한 수치다.
키움증권은 차익결제거래(CFD) 우려가 주가에 과도하게 반영돼 기업가치가 저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 연구원은 “키움증권의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를 1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은 0.4배, 주가수익비율(PER,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은 3.1배로 역사적으로도 낮다”고 평가했다. 차화영 기자
올해 실적 개선이 전망되는 데도 주가는 역사적 저점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 BNK투자증권은 키움증권 주식 매수의견을 유지했다. <키움증권>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13일 키움증권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13만 원을 유지했다.
키움증권 주가는 전날 8만5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키움증권은 플랫폼 증권사로서 리테일(소매금융) 시장지배력을 유지하는 가운데 하루평균 거래대금 회복으로 최대 수혜를 볼 것”이라며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감이 유효하다”고 바라봤다.
그러면서 “시장 우려와 달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는 1조 원 미만이고 선순위 채권 비중도 높아서 차후 손실 우려도 제한적이다”고 덧붙였다.
7월 주식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20조 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키움증권은 올해 지배주주 순이익 755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키움증권의 지배주주 순이익은 2021년 9040억 원에서 2022년 5070억 원으로 감소했는데 올해 반등하는 것이다.
당장 2분기에는 지배주주 순이익 1554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43.2% 증가한 수치다.
키움증권은 차익결제거래(CFD) 우려가 주가에 과도하게 반영돼 기업가치가 저평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 연구원은 “키움증권의 주가순자산비율(PBR, 주가를 1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은 0.4배, 주가수익비율(PER,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은 3.1배로 역사적으로도 낮다”고 평가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