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동국제강이 탄소배출 저감형 하이퍼 전기로 공정 개발에 들어간다.
동국제강은 산업부 '4대 업종 탄소중립 개발사업' 중 철강 분야 '전기로 효율 향상을 위한 에너지 순환 하이퍼 공정 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했다고 24일 밝혔다.
동국제강은 2028년까지 하이퍼 전기로 공정 연구를 마칠 계획을 세웠다.
하이퍼 공정 기술의 핵심은 속도와 에너지 효율로 조업 속도를 높일수록 소비 전력을 절감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
동국제강은 철 스크랩 예열 및 장입 방식 개선 등으로 전력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해 하이퍼 전기로 기술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전기로는 철 스크랩을 재활용해 철강을 생산하는 공정으로 고로와 비교해 탄소배출량이 적지만 국가별 기술 편차가 크다.
이번 하이퍼 전기로 조업 연구는 동국제강 '스틸 포 그린(Steel for Green)-전기로 미래 기술 연구'의 일환이다.
동국제강은 지난해 중장기 친환경 전략 'Steel for Green'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18년보다 1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동국제강은 “인천공장 에코아크 전기로는 철스크랩 사전 예열 및 연속 장입으로 일반 전기로 대비 전력을 30% 덜 사용한다”며 “이번 하이퍼 전기로 기술 개발 및 도입에 성공할 경우 추가적인 전력 효율 향상과 친환경 기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은파 기자
동국제강은 산업부 '4대 업종 탄소중립 개발사업' 중 철강 분야 '전기로 효율 향상을 위한 에너지 순환 하이퍼 공정 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했다고 24일 밝혔다.

▲ 동국제강이 24일 산업부의 4대 업종 탄소중립 개발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동국제강 인천공장에 있는 전기로 조업 모습. <동국제강>
동국제강은 2028년까지 하이퍼 전기로 공정 연구를 마칠 계획을 세웠다.
하이퍼 공정 기술의 핵심은 속도와 에너지 효율로 조업 속도를 높일수록 소비 전력을 절감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
동국제강은 철 스크랩 예열 및 장입 방식 개선 등으로 전력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해 하이퍼 전기로 기술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전기로는 철 스크랩을 재활용해 철강을 생산하는 공정으로 고로와 비교해 탄소배출량이 적지만 국가별 기술 편차가 크다.
이번 하이퍼 전기로 조업 연구는 동국제강 '스틸 포 그린(Steel for Green)-전기로 미래 기술 연구'의 일환이다.
동국제강은 지난해 중장기 친환경 전략 'Steel for Green'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18년보다 1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동국제강은 “인천공장 에코아크 전기로는 철스크랩 사전 예열 및 연속 장입으로 일반 전기로 대비 전력을 30% 덜 사용한다”며 “이번 하이퍼 전기로 기술 개발 및 도입에 성공할 경우 추가적인 전력 효율 향상과 친환경 기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