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범 금융위원장이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 2조 원 규모의 자금을 수출입기업에 공급한다.
고 위원장은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에서 열린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우리 기업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출입 기업 등의 피해범위, 자금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할 때 긴급 금융지원프로그램을 가동해 관련기업의 자금애로 해소에 필요한 자금을 적극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긴급 금융지원프로그램은 최대 2조 원 규모다.
고 위원장은 “어제 우크라이나 사태가 시시각각 급변하면서 국내외 증시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환율은 상승해 달러당 1200원을 웃도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더해 글로벌 긴축 등이 중첩돼 대외리스크가 점증하고 있는 만큼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를 적시에 탐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금융위, 금감원과 국제금융센터 등 유관기관과 관련 해외지사와의 핫라인을 가동하는 등 긴밀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교류하는 체계를 유지할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
고 위원장은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에서 열린 금융시장 합동 점검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로 우리 기업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출입 기업 등의 피해범위, 자금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할 때 긴급 금융지원프로그램을 가동해 관련기업의 자금애로 해소에 필요한 자금을 적극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 고승범 금융위원장.
긴급 금융지원프로그램은 최대 2조 원 규모다.
고 위원장은 “어제 우크라이나 사태가 시시각각 급변하면서 국내외 증시가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환율은 상승해 달러당 1200원을 웃도는 등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다”고 진단했다.
그는 “상황이 긴박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더해 글로벌 긴축 등이 중첩돼 대외리스크가 점증하고 있는 만큼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를 적시에 탐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위원장은 “금융위, 금감원과 국제금융센터 등 유관기관과 관련 해외지사와의 핫라인을 가동하는 등 긴밀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교류하는 체계를 유지할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