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의 2차전지 생태계 구축에 파란불이 켜졌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2차전지의 핵심 원료인 리튬 생산부터 2차전지 재활용까지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각종 투자를 이어왔는데 760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맺는 성과를 거뒀다.
 
전남 2차전지·생태계 구축 파란불, 김영록 e모빌리티산업 주춧돌 놓아

김영록 전라남도 도지사.


7일 전남도 관계자에 따르면 김 지사는 그동안 2차전지 관련 산업의 생태계를 구축해 이를 바탕으로 'e모빌리티산업'을 육성한다는 큰 그림을 그렸는데 최근 첫 주춧돌을 놓는 데 성공했다. 

김 지사는 6일 포스코리튬솔루션, 광양시와 7600억 원 규모의 ‘2차전지소재 리튬 생산 투자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영록 지사, 김경호 광양부시장, 정창화 포스코 신성장부문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전남도와 포스코리튬솔루션은 2023년 수산화리튬 공장을 완공해 전기차 100만 대를 만들 수 있는 연간 4만3천 톤의 수산화리튬을 생산한다. 리튬은 2차전지 양극재소재로 그동안 칠레와 아르헨티나 등에서 100% 수입하고 있었다. 

포스코리튬솔루션은 포스코 계열사로 리튬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김 지사는 “포스코리튬솔루션은 전남의 미래 먹거리인 2차전지소재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기업이다”며 “전남과 광양만경제자유구역청, 광양시는 지역과 기업이 상생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2020년 11월 ‘광주·전남지역 산업의 경쟁력 및 발전방안’ 보고서를 통해 광주·전남지역이 특화할 산업 분야로 인공지능(AI), 에너지, 자동차, 철강, 조선 등을 꼽았다. 

한국은행은 광주전남지역이 특화산업을 각각 따로 육성하기보다 융합해 시너지를 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자체는 시너지를 창출을 위해 연관산업을 하나의 생태계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2차전지와 자동차 등 모빌리티산업을 융합한 'e모빌리티산업'을 전남지역의 주력 육성산업으로 삼았다.

김 지사는 이를 위해 광양시에 ‘2차전지 친환경 재활용 표준인증 플랫폼’을 구축한다. 2차전지 생산소재인 리튬에 이어 재활용사업에도 진출하는 것이다.

김 지사는 2020년 12월1일 2차전지 온택트 투자설명회도 열었다. 포스코케미칼, SK이노베이션, 현대자동차, GMT코리아 등의 2차전지기업 관계자 200명이 참석했다. 

앞서 김 지사는 2018년부터 전남 영광 산업단지에 소형 전기차 인프라를 조성해 왔다. 2019년 9월에는 340억 원을 들여 전기차 관련 중소·중견기업이 공동으로 설계 및 제조할 표준을 만드는 개방형 플랫폼 개발사업도 추진했다. 

2020년 4월에는 전기추진 선박과 충전 시스템 개발에 450억 원을 투자했다. 10월에는 2023년까지 4771억 원을 투입하는 전기화물차 보급 지원에 나섰다. 12월에는 영광 e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에서 전기이륜차와 농업용전기운반차 주행 실증도 시작했다.

김 도지사는 2021년 4월20일 ‘e모빌리티 산업생태계 조성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하면서 e모빌리티 본격 양산을 위한 구체적 계획 마련에도 나섰다.

이 과정에서 좌절도 없지 않았다. 

전남도는 2019년부터 2차전지 클러스터 유치에 나섰으나 산업통상자원부가 2020년 2월 충북에 2차전지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 발표했다. 또 2020년 12월 2차전지 부품 평가센터 유치를 희망했지만 2020년 4월17일 충북이 평가센터 유치에 성공했다.

다행히 이번에 리튬생산 공장 유치에 성공한 것인데 전남도의 다음 목표는 재활용센터 유치이다. 2021년 정부예산 계획에 반영돼 있어 광양 유치가 유력하다. 

또한 전남 나주에 있는 에너지규제자유특구에는 한전공대 등과 연계해 2차전지 생산기업 유치도 정성을 쏟고 있다.

전남도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전남도에는 리튬과 2차전지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이어지는 2차전지의 주기별 사업화가 완성된다. 또 이를 활용한 소형전기차, 전기선박, 농업용전기운반차, 전기드론 등 e모빌리티까지 한데 묶는 2차전지·e모빌리티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다.

전남도청 관계자는 “전남을 명실상부한 글로벌 e모빌리티산업의 핵심거점으로 육성하겠다”며 “e모빌리티산업 육성계획을 내실 있게 추진하며 다른 한국형 뉴딜 사업과 융합한 사업모델도 개발하는 등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