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코로나19의 재확산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 확대를 고려해 완화적 통화정책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 총재는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참석해 “코로나19의 국내 감염이 다시 확산하면서 향후 경제흐름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다”며 “국내 경제가 다소 개선되는 조짐을 보였으나 최근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며 회복세가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주열 "코로나19 재확산에 경제회복세 약화,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은 이에 앞서 5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로 제시했는데 27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악의 경우 -2.0%까지 성장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이 총재는 세계경제를 놓고도 “각국의 경제활동 재개 양상에 따라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며 완만하게 회복될 전망이지만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어 글로벌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진단했다.

고용상황도 부정적으로 봤다.

이 총재는 “취업자 수가 3월 이후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큰 폭 감소했다”며 “코로나19 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종의 고용 개선이 더딘 데다 제조업과 건설업의 업황 부진도 이어지며 앞으로 고용 상황은 부진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총재는 “국내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코로나19 전개상황이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책대응의 파급효과를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시장으로 자금 쏠림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도 주의 깊게 살펴보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금융·외환시장 안정과 신용의 원활한 흐름이 유지되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