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CU가 유통기한을 앞둔 상품 등을 싸게 판매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BGF리테일은 CU에서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이나 점포에서 판매가 부진한 상품을 폐기하는 대신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서비스 ‘그린세이브(Green Save)’를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품 손실(Food loss) 줄이기 캠페인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하루에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 양은 평균 1만 4477톤에 이른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으로만 한해 약 2조 원이 사용된다.
CU는 도시락, 샌드위치, 디저트 등 유통기한이 짧은 신선식품부터 과자, 음료, 즉석식품, 안주 등 일반식품까지 약 10개 카테고리의 3000여 개 식음료를 대상으로 그린세이브를 운영한다.
그린세이브 대상 상품은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판매된다.
고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식품은 각 점포에서 설정한 만료일 전까지, 신선식품은 유통기한 20분 전까지만 판매한다.
CU 그린세이브는 모바일앱 ‘라스트오더’에서 이용할 수 있다.
CU는 그린세이브를 7월까지 서울시 일부 점포에서 시범운영한 뒤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조성해 BGF리테일 서비스플랫폼팀장은 “CU는 유통기한을 앞둔 상품이 자동으로 업로드되게 하는 등 전국 가맹점이 더욱 간편하게 식품 손실 줄이기 캠페인에 동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BGF리테일은 CU에서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이나 점포에서 판매가 부진한 상품을 폐기하는 대신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서비스 ‘그린세이브(Green Save)’를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 편의점 CU가 '그린세이브(Green Save)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22일 밝혔다. < BGF리테일 >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품 손실(Food loss) 줄이기 캠페인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하루에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 양은 평균 1만 4477톤에 이른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으로만 한해 약 2조 원이 사용된다.
CU는 도시락, 샌드위치, 디저트 등 유통기한이 짧은 신선식품부터 과자, 음료, 즉석식품, 안주 등 일반식품까지 약 10개 카테고리의 3000여 개 식음료를 대상으로 그린세이브를 운영한다.
그린세이브 대상 상품은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판매된다.
고객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식품은 각 점포에서 설정한 만료일 전까지, 신선식품은 유통기한 20분 전까지만 판매한다.
CU 그린세이브는 모바일앱 ‘라스트오더’에서 이용할 수 있다.
CU는 그린세이브를 7월까지 서울시 일부 점포에서 시범운영한 뒤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조성해 BGF리테일 서비스플랫폼팀장은 “CU는 유통기한을 앞둔 상품이 자동으로 업로드되게 하는 등 전국 가맹점이 더욱 간편하게 식품 손실 줄이기 캠페인에 동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