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이 전해동박 생산공장 설립과 관련해 울산시와 업무협약을 맺었다.
고려아연과 울산시는 24일 울산시청 본관 3층에서 ‘전해동박 생산공장 신설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울산시는 고려아연의 신규투자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공장 건설을 위한 인허가 등 행정적 부문을 지원한다.
고려아연은 신규 사업장에 울산시민을 우선 고용하는 등 지역 일자리 창출에 협조하기로 했다.
고려아연은 울산시 울주군에 위치한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있는 온산제련소 인근에 전해동박 생산공장을 설립한다.
부지규모는 약 1만8981㎡이며 준공 예정일은 2022년 10월이다.
고려아연은 이곳에서 연간 1만3천 톤 규모의 전해동박을 생산하게 된다.
전해동박은 기판과 반도체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얇은 구리막으로 2차전지의 핵심소재 가운데 하나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
고려아연과 울산시는 24일 울산시청 본관 3층에서 ‘전해동박 생산공장 신설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 최창근 고려아연 대표이사 회장.
울산시는 고려아연의 신규투자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공장 건설을 위한 인허가 등 행정적 부문을 지원한다.
고려아연은 신규 사업장에 울산시민을 우선 고용하는 등 지역 일자리 창출에 협조하기로 했다.
고려아연은 울산시 울주군에 위치한 온산국가산업단지에 있는 온산제련소 인근에 전해동박 생산공장을 설립한다.
부지규모는 약 1만8981㎡이며 준공 예정일은 2022년 10월이다.
고려아연은 이곳에서 연간 1만3천 톤 규모의 전해동박을 생산하게 된다.
전해동박은 기판과 반도체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얇은 구리막으로 2차전지의 핵심소재 가운데 하나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