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경제성장 정체로 내년에 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6일 “올해 하반기부터 경제성장률이 잠재 성장률을 밑돌 것”이라며 “경제성장이 정체됨에 따라 한국은행은 2019년에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10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2018년과 2019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보다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낮춘 2.7%, 2.7%로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다른 민간 연구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을 2% 중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전망은 다소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은 민간소비, 설비 투자, 취업자 수 등의 부문에서 비교적 낙관적 전망을 내놨지만 2019년에 국내 설비 투자가 부진하면서 고용,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클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2019년에 대부분 기업들은 설비투자 계획을 놓고 국내보다 해외 쪽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며 “국내 제조업 생산과 고용은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봤다.
그는 “국내 경제의 위축으로 2019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 중반에 그친다면 미국과 금리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국내 경제의 기초체력 여건으로 볼 때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6일 “올해 하반기부터 경제성장률이 잠재 성장률을 밑돌 것”이라며 “경제성장이 정체됨에 따라 한국은행은 2019년에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한국의 경제성장이 정체되고 있어 한국은행이 2019년에는 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연합뉴스>
한국은행은 10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2018년과 2019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보다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낮춘 2.7%, 2.7%로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다른 민간 연구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을 2% 중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행의 경제성장률 전망은 다소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은 민간소비, 설비 투자, 취업자 수 등의 부문에서 비교적 낙관적 전망을 내놨지만 2019년에 국내 설비 투자가 부진하면서 고용,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클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2019년에 대부분 기업들은 설비투자 계획을 놓고 국내보다 해외 쪽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며 “국내 제조업 생산과 고용은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바라봤다.
그는 “국내 경제의 위축으로 2019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 중반에 그친다면 미국과 금리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국내 경제의 기초체력 여건으로 볼 때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