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나란히 올랐다. 바이오산업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에 관련 주가가 상승한 영향을 받았다.
7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3.66포인트(0.6%) 오른 2300.16으로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투자자가 3거래일 연속으로 순매수를 나타내면서 2300선을 웃돌았다.
한국거래소는 “해외 기업들이 2분기에 좋은 실적을 내놓으면서 해외 증시가 상승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며 “바이오산업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심리로 의약품에 관련된 기업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이름을 올린 상장기업 가운데 79.2%가 시장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내놓았다.
이에 힘입어 6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지수는 직전거래일보다 10.05포인트(0.35%0 오른 2850.40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나스닥지수도 직전거래일보다 올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 바이오산업에 관련된 규제 완화를 요청한 점도 국내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코스피에 상장된 의약품 관련 업종의 주가는 전날보다 2.1% 올라 코스피지수의 상승을 주도했다. 전기전자업종 주가도 외국인투자자의 매수에 힘입어 1.7% 상승했다.
코스피에서 외국인투자자는 569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기관투자자는 1084억 원, 개인투자자는 67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10위 종목들의 주가가 모두 전날보다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6.53%) 주가의 상승폭이 비교적 컸고 삼성전자(1.97%), SK하이닉스(1.64%), 네이버(1.22%), 삼성물산(2.88%) 주가도 전날보다 1% 이상 올랐다.
7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3.29포인트(0.42%) 오른 784.70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도 바이오산업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에 따른 제약주의 강세에 힘입어 올랐다.
코스닥에 상장된 제약업종 주가는 전날보다 1.6% 올랐다. 소프트웨어(1.2%), 반도체(1%), 음식료(0.6%) 관련 업종의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코스닥에서 개인투자자는 952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기관투자자는 728억 원, 외국인투자자는 130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0.11%), 메디톡스(0.83%), 신라젠(0.85%), 바이로메드(3.32%), 포스코켐텍(0.5%), 펄어비스(0.04%) 주가가 전날보다 올랐다.
반면 CJENM(-2.85%), 나노스(-3.66%), 스튜디오드래곤(-2.95%) 주가는 전날보다 떨어졌다. 에이치엘비 주가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지켰다.
7일 원/달러환율은 전날보다 0.2원 떨어진 달러당 1123.8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에는 달러화의 강세에 따라 상승했지만 장중에 위안화가치가 오른 여파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7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3.66포인트(0.6%) 오른 2300.16으로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투자자가 3거래일 연속으로 순매수를 나타내면서 2300선을 웃돌았다.

▲ 7일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13.66포인트(0.6%) 오른 2300.16으로 장을 마감한 가운데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모니터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거래소는 “해외 기업들이 2분기에 좋은 실적을 내놓으면서 해외 증시가 상승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며 “바이오산업 규제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심리로 의약품에 관련된 기업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이름을 올린 상장기업 가운데 79.2%가 시장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 실적을 내놓았다.
이에 힘입어 6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지수는 직전거래일보다 10.05포인트(0.35%0 오른 2850.40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나스닥지수도 직전거래일보다 올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 바이오산업에 관련된 규제 완화를 요청한 점도 국내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코스피에 상장된 의약품 관련 업종의 주가는 전날보다 2.1% 올라 코스피지수의 상승을 주도했다. 전기전자업종 주가도 외국인투자자의 매수에 힘입어 1.7% 상승했다.
코스피에서 외국인투자자는 569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기관투자자는 1084억 원, 개인투자자는 67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10위 종목들의 주가가 모두 전날보다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6.53%) 주가의 상승폭이 비교적 컸고 삼성전자(1.97%), SK하이닉스(1.64%), 네이버(1.22%), 삼성물산(2.88%) 주가도 전날보다 1% 이상 올랐다.
7일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3.29포인트(0.42%) 오른 784.70으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도 바이오산업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에 따른 제약주의 강세에 힘입어 올랐다.
코스닥에 상장된 제약업종 주가는 전날보다 1.6% 올랐다. 소프트웨어(1.2%), 반도체(1%), 음식료(0.6%) 관련 업종의 주가도 강세를 보였다.
코스닥에서 개인투자자는 952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다. 기관투자자는 728억 원, 외국인투자자는 130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0.11%), 메디톡스(0.83%), 신라젠(0.85%), 바이로메드(3.32%), 포스코켐텍(0.5%), 펄어비스(0.04%) 주가가 전날보다 올랐다.
반면 CJENM(-2.85%), 나노스(-3.66%), 스튜디오드래곤(-2.95%) 주가는 전날보다 떨어졌다. 에이치엘비 주가는 전날과 같은 수준을 지켰다.
7일 원/달러환율은 전날보다 0.2원 떨어진 달러당 1123.8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에는 달러화의 강세에 따라 상승했지만 장중에 위안화가치가 오른 여파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