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 등 기초 석유화학 제품의 수익성이 하락하면서 2분기 실적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백영찬 KB증권 연구원은 19일 한화케미칼 목표주가를 기존 4만 원에서 3만 원으로 낮춰 잡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8일 한화케미칼 주가는 2만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백 연구원은 “한화케미칼이 원재료 나프타 가격이 오르면서 2분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의 스프레드(제품가격에서 원재료 가격을 뺀 값)가 줄었다”며 “이에 따라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기초소재부문의 실적이 축소된 점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케미칼은 2분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스프레드가 톤당 566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하락했다.
올해 나프타 가격이 지난해보다 33.1% 오른 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의 판매가격은 하락했기 때문이다.
2분기 태양광사업에서는 좋은 성과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백 연구원은 “한화케미칼이 2분기 태양광사업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6% 늘어난 287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을 것”이라며 “태양광 설치 수요는 제한적이었으나 원료인 웨이퍼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수익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2019년에는 중국 정부가 6월1일 발표한 태양광 설치 및 보조금 관련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 태양광시장 고성장세가 주춤해지면서 태양광 설치수요가 둔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했다.
한화케미칼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2526억 원, 영업이익 1834억 원을 냈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9.4%, 영업이익은 16.2%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 등 기초 석유화학 제품의 수익성이 하락하면서 2분기 실적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 김창범 한화케미칼 대표이사 부회장.
백영찬 KB증권 연구원은 19일 한화케미칼 목표주가를 기존 4만 원에서 3만 원으로 낮춰 잡고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18일 한화케미칼 주가는 2만45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백 연구원은 “한화케미칼이 원재료 나프타 가격이 오르면서 2분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의 스프레드(제품가격에서 원재료 가격을 뺀 값)가 줄었다”며 “이에 따라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는 기초소재부문의 실적이 축소된 점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케미칼은 2분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스프레드가 톤당 566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 하락했다.
올해 나프타 가격이 지난해보다 33.1% 오른 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염화비닐(PVC)의 판매가격은 하락했기 때문이다.
2분기 태양광사업에서는 좋은 성과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백 연구원은 “한화케미칼이 2분기 태양광사업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6% 늘어난 287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을 것”이라며 “태양광 설치 수요는 제한적이었으나 원료인 웨이퍼 가격이 크게 하락하면서 수익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2019년에는 중국 정부가 6월1일 발표한 태양광 설치 및 보조금 관련 정책의 영향으로 중국 태양광시장 고성장세가 주춤해지면서 태양광 설치수요가 둔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했다.
한화케미칼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2526억 원, 영업이익 1834억 원을 냈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9.4%, 영업이익은 16.2% 줄어드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