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대통령 친인척과 지방의회, 공공기관 등의 감찰을 강화하기 위해 특별감찰반을 확대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5일 기자들에게 “민정수석실은 특별감찰반의 인원을 확충할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특별감찰반은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조직으로 행정부 소속 고위공직자, 공공기관·단체 등의 장 및 임원, 대통령의 친족 및 대통령과 특수관계에 있는 자를 두고 감찰 업무를 수행한다.
특별감찰반은 검찰과 경찰 등에서 온 파견 공무원들로 구성되며 대통령비서실 소속 선임 행정관이 반장을 맡는다.
청와대는 기존의 15명 정도 인원을 최대 6명 더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감찰반은 전국 지방의회 등을 대상으로도 감찰 업무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6월18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통령, 친인척 등 특수관계인을 민정수석실에서 열심히 감시해 달라”며 “민정수석이 중심이 돼서 청와대와 정부 감찰에서도 악역을 맡아야 하고 지방권력이 해이해지지 않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청와대 관계자는 5일 기자들에게 “민정수석실은 특별감찰반의 인원을 확충할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 문재인 대통령.
특별감찰반은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조직으로 행정부 소속 고위공직자, 공공기관·단체 등의 장 및 임원, 대통령의 친족 및 대통령과 특수관계에 있는 자를 두고 감찰 업무를 수행한다.
특별감찰반은 검찰과 경찰 등에서 온 파견 공무원들로 구성되며 대통령비서실 소속 선임 행정관이 반장을 맡는다.
청와대는 기존의 15명 정도 인원을 최대 6명 더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별감찰반은 전국 지방의회 등을 대상으로도 감찰 업무를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은 6월18일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통령, 친인척 등 특수관계인을 민정수석실에서 열심히 감시해 달라”며 “민정수석이 중심이 돼서 청와대와 정부 감찰에서도 악역을 맡아야 하고 지방권력이 해이해지지 않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