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금융회사들에게 리스크 관리 능력을 활용해 가계과 중소기업의 부담을 덜어달라고 당부했다.

윤 원장은 15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금융시장 전문가와 조찬 간담회에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에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이런 위험에 금융산업 스스로 대비하고 그 능력과 시스템을 충실히 유지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헌 "금융회사는 가계와 중소기업 부담도 덜어줘야"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국내 금융시장의 4대 위험요인으로 은행 등의 불합리한 대출금리 산정체계와 최근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개인사업자 대출과 신용대출, 전세대출을 꼽았다.

금융회사의 외화 유동성과 외화자금시장, 파생결합증권(DLS) 등 금리·환율 변동에 민감한 금융상품도 위험요인으로 제시했다.

윤 원장은 “금융회사 스스로만을 위해 리스크 관리 능력을 발휘하면서 다른 부문에 위험을 떠넘기고 있다는 일부의 지적을 돌아봐야 한다”며 “금리 상승 등으로 부담이 커질 수 있는 가계와 중소기업 등도 결국 우리 금융을 떠받치고 있는 축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회사들이 자금 공급 역할보다 담보 위주 대출을 주로 다루며 ‘쉬운 영업’에 치중하는 모습을 꼬집은 것으로 해석된다.

윤 원장은 “금융회사가 수준 높은 리스크 관리 능력을 발휘해 더 많은 위험을 적극 부담해 이들과 고통을 함께하며 위험을 관리하고 극복해나가면 금융부문은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