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청년 일자리 마련과 창업·벤처 활성화 등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1일 국회가 전체 추가경정예산의 41%에 해당하는 1조5651억 원을 중소벤처기업부에 편성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본예산 8조8561억 원을 포함해 10조4212억 원의 예산을 집행하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추가경정예산을 재직·취업 지원에 1575억 원, 창업·벤처 활성화에 7116억 원, 소상공인·전통시장에 3704억 원, 지역경제 등 기타에 3256억 원 배정했다.
창업긴급자금과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청년들과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위한 융자에 추가경정예산의 절반이 넘는 8250억 원이 사용된다.
중소기업에 4800억 원, 소상공인에게 3450억 원의 예산이 돌아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추가경정예산의 55%를 1개월 안에, 88%인 1조3817억 원을 3개월 안에 집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매월 예산집행점검회의를 열어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목표와 비교해 집행실적이 90% 이하인 부진사업을 중점적으로 관리할 것”이라며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집행이 부진한 사유를 분석하고 신속히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21일 국회가 전체 추가경정예산의 41%에 해당하는 1조5651억 원을 중소벤처기업부에 편성됐다고 밝혔다.

▲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에 따라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본예산 8조8561억 원을 포함해 10조4212억 원의 예산을 집행하게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추가경정예산을 재직·취업 지원에 1575억 원, 창업·벤처 활성화에 7116억 원, 소상공인·전통시장에 3704억 원, 지역경제 등 기타에 3256억 원 배정했다.
창업긴급자금과 긴급 경영안정자금 등 청년들과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위한 융자에 추가경정예산의 절반이 넘는 8250억 원이 사용된다.
중소기업에 4800억 원, 소상공인에게 3450억 원의 예산이 돌아간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추가경정예산의 55%를 1개월 안에, 88%인 1조3817억 원을 3개월 안에 집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매월 예산집행점검회의를 열어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목표와 비교해 집행실적이 90% 이하인 부진사업을 중점적으로 관리할 것”이라며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집행이 부진한 사유를 분석하고 신속히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