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경상수지가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하며 33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수입과 수출이 함께 줄어드는 불황형 흑자 양상을 나타냈지만 한국은행은 불황이 아니라고 해석한다.
![]() |
||
▲ 한국은행은 30일 11월 경상수지 흑자가 114억1천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이는 지난해 10월 기록한 111억1천억 달러를 넘어선 역대 최대치다.
흑자가 늘어난 것은 상품수지 흑자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11월 상품수지는 101만5천억 달러로 10월보다 15만4천 달러 증가했다.
수출은 502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줄었고 수입은 400억4천만 달러로 10.4% 감소했다. 수출보다 수입 규모가 크게 줄어들면서 흑자가 증가했다.
정준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은 “수입 감소의 주된 원인은 국제유가 하락”이라며 “원유 도입물량이 10월 7450만 배럴에서 11월 8300만 배럴로 늘었는데도 수입금액은 13.6%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 부장은 “지금 경제상황이 불황은 아니다”라며 “물량 기준으로 보면 수입이 늘고 있어 불황형 흑자와 다르다”고 주장했다. 11월 수입 단가는 -7.2%를 기록했지만 물량 기준 수입은 2.6%가 증가했기 때문에 단순히 수입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올해 누적 경상수지는 11월까지 819억 달러를 기록해 한국은행 목표치인 840억 원 달성이 확실시된다. 지난해 경상수지 흑자 707억 달러를 넘어 사상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