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 보험사기 적발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7302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
1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 보험사기 적발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7302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6년보다 117억 원(1.6%) 증가했다.
2015년 6549억 원, 2016년 7185억 원에 이어 보험사기 적발금액은 최대치를 경신했다.
적발인원은 2016년보다 523명(0.6%) 증가한 8만3535명으로 집계됐다. 1인당 평균 사기금액은 870만 원으로 2016년과 비슷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허위입원, 보험사고 내용조작 등 ‘허위·과다사고’ 유형이 5345억 원(73.2%)로 가장 많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과다입원이나 피해를 과장하는 형태의 보험사기가 ‘범죄 행위’라는 인식이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보험종목별 살펴보면 손해보험 종목이 6574억 원으로 90%를 차지했다. 생명보험 종목은 728억 원(10%)가량으로 집계됐다.
특히 허위·과다입원 유형이 크게 증가하면서 장기손해보험 적발규모가 많이 늘어났다. 증가세를 살펴보면 2015년 835억 원, 2016년 840억 원, 2017년 1265억 원 등이다.
자동차보험 사기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자동차보험 사기 비중은 2016년 45.0%에서 지난해 43.9%까지 하락했다. 블랙박스, CCTV 설치 등 사회적 감시망이 확대되면서 보험사기가 예방된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경제활동 적령기인 30대~50대 연령층의 보험사기 비중이 2016년 69.9%에서 2017년 68.5%로 줄었다. 하지만 20대의 보험사기 비중이 14.4%에서 15.5%로, 60대 이상이 13.9%에서 14.5%로 높아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기가 근절될 수 있도록 수사기관과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며 “보험사기는 결국 보험료 인상을 초래해 가족, 친구 등 이웃들에게 피해를 입힌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