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친환경차 시장 성장률 내년 '반토막' 전망, 정부 지원정책 축소 영향

▲ 중국 친환경차 시장 성장률이 내년에는 올해의 절반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조사기관의 예측이 나왔다. 정부 지원 정책 축소가 배경으로 지목된다. 중국 BYD 보급형 전기차 '시걸' 홍보용 사진.

[비즈니스포스트] 중국 전기차 및 친환경차 시장 성장세가 내년부터 급격히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부 보조금 축소와 제조사들 사이 경쟁 심화, 보급형 모델에 수요 집중 등 요인이 겹치면서 내년은 관련 업체들에 가장 어려운 시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28일 "중국 전기차 관련주 투자자들은 꾸준한 실적 호조를 기대하고 있었다”며 “그러나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오며 향후 전망에 불안감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중국 엑스펑(샤오펑)과 리오토, 니오 등 전기차 제조사들은 최근 4분기 실적 및 차량 판매 전망치를 시장 예상보다 낮은 수준으로 제시했다.

이는 자연히 전기차 관련 기업들의 전반적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내년부터 중국 정부의 전기차 지원 정책이 축소되는 만큼 4분기에 소비자 수요가 집중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했으나 이를 저버린 셈이다.

블룸버그는 “내년부터는 전기차 및 친환경차 수요 감소가 불가피하다”며 “할인 판매가 이어지면서 업체들의 수익성도 더 악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연간 27%로 예상되는 중국 친환경차 시장 성장률이 내년에는 13%로 절반 이상 낮아질 것이라는 자체 조사기관 블룸버그인텔리전스의 예측도 근거로 제시됐다.

투자기관 CLSA는 중국 소비자들의 수요가 보급형 차량으로 이동하는 추세도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을 전했다.

중국 전기차 및 친환경차 업체들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될 가능성을 예고한 셈이다.

블룸버그는 BYD를 비롯한 일부 제조사가 해외 수출 확대에 집중하면서 뚜렷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샤오펑과 리오토 등 업체는 인공지능 로봇 신사업을 육성하는 데 속도를 내며 전기차 이외 성장동력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당장 중국 내수시장에서 차량 판매 감소에 따른 악영향을 만회하기는 역부족으로 평가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증권사 UBS는 보고서를 내고 “내년 전기차 시장에 명확한 밑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면 관련 분야에 투자자들의 비중 확대가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