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하 기조를 유지하겠지만 경제전망 지표 등에 따라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12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한국은행의 공식 입장은 통화완화 사이클을 유지한다는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금리인하의 규모와 시기, 통화정책 방향 전환 여부 등은 새로운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고 말했다.
 
한은 이창용 "금리인하 기조 유지하겠지만 데이터 따라 방향 달라질 수도"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단기금융시장 발전과 코파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콘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잠재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만큼 금리인하 기조를 유지하지만 경제전망 수정 수치 등을 바탕으로 추가 인하 등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원/달러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는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현재 원화는 미국의 인공지능(AI) 관련 주가 변동성, 미국 정부의 셧다운, 달러 강세, 일본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미중 무역관계, 한미 투자 패키지 등 너무 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다”며 “안개가 걷히기 전까지 방향을 확인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바라봤다.

이 총재는 “다만 개인적으로는 시장 불확실성에 환율이 과도하게 민감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은행은 변동성 확대를 주시하고 있고 환율이 과도하게 움직이면 개입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 코스피 급등세에 관한 의견도 밝혔다.

이 총재는 “국내 증시가 최근 상당히 상승했음에도 여전히 주가순자산배율(PBR)은 1.1 수준으로 다른 나라보다 훨씬 낮다”며 “한국 증시가 과대평가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