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롯데케미칼이 3분기에 영업손실을 크게 줄였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3분이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7861억 원, 영업손실 1326억 원을 냈다고 12일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5.8% 줄었다. 영업손실 규모는 지난해 3분기 4174억 원에서 68.2% 감소했다.
사업 부문별 및 주요 자회사별 실적을 보면 기초화학 부문에서는 매출 3조3833억 원, 영업손실 1225억 원을 냈다.
첨단소재 부문에서는 매출 1조222억 원, 영업이익 575억 원을 거뒀다.
자회사인 롯데정밀화학은 매출 4434억 원, 영업이익 276억 원을 냈다.
자회사인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3분기 실적은 매출 1437억 원, 영업손실 343억 원으로 집계됐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중장기 경쟁력 확보 및 현금흐름 개선을 위해 구조적 사업 체질개선 활동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구조조정에 적극 대응하고 비핵심 자산 매각도 속도감 있게 적극적으로 추진해 본원적 경쟁력 확보와 재무 안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
롯데케미칼은 올해 3분이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7861억 원, 영업손실 1326억 원을 냈다고 12일 공시했다.
▲ 롯데케미칼은 2025년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4조7861억 원, 영업손실 1326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5.8% 줄었다. 영업손실 규모는 지난해 3분기 4174억 원에서 68.2% 감소했다.
사업 부문별 및 주요 자회사별 실적을 보면 기초화학 부문에서는 매출 3조3833억 원, 영업손실 1225억 원을 냈다.
첨단소재 부문에서는 매출 1조222억 원, 영업이익 575억 원을 거뒀다.
자회사인 롯데정밀화학은 매출 4434억 원, 영업이익 276억 원을 냈다.
자회사인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의 3분기 실적은 매출 1437억 원, 영업손실 343억 원으로 집계됐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중장기 경쟁력 확보 및 현금흐름 개선을 위해 구조적 사업 체질개선 활동을 적극 추진 중”이라며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구조조정에 적극 대응하고 비핵심 자산 매각도 속도감 있게 적극적으로 추진해 본원적 경쟁력 확보와 재무 안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