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9월 시중 통화량이 증시 활황 속 투자 대기성 자금이 쌓이면서 늘었다.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9월 광의통화량(M2)은 4430조5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8월보다 0.7%(30조3천억 원) 증가했다.
광의통화량은 현금 통화와 예적금 등 협의통화(M1)에 더해 MMF(머니마켓펀드), 환매조건부채권(RP)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지표다.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광의통화량은 6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9월 증가폭은 8월(1.3%)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요구불예금은 9조5천억 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6조8천억 원, 수익증권은 5조7천억 원 증가했다.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에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자금 유입도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업은 10조3천억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8조9천억 원, 기타 금융기관은 1조8천억 원, 기타부문은 6조9천억 원 등 모두 늘었다. 조혜경 기자
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9월 광의통화량(M2)은 4430조5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8월보다 0.7%(30조3천억 원) 증가했다.
▲ 9월 시중 통화량이 한 달 전보다 30조3천억 원 늘었다. 사진은 한국은행 건물. <연합뉴스>
광의통화량은 현금 통화와 예적금 등 협의통화(M1)에 더해 MMF(머니마켓펀드), 환매조건부채권(RP)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지표다.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광의통화량은 6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9월 증가폭은 8월(1.3%)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금융상품별로 살펴보면 요구불예금은 9조5천억 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6조8천억 원, 수익증권은 5조7천억 원 증가했다.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에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자금 유입도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경제주체별로 보면 기업은 10조3천억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8조9천억 원, 기타 금융기관은 1조8천억 원, 기타부문은 6조9천억 원 등 모두 늘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