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갈 길 멀다" 평가 나와, 투자의견 '중립'

▲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앞세우는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등 신사업이 여전히 초기 단계에 그쳐 실적에 기여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테슬라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시제품.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테슬라가 핵심 성장동력으로 앞세우는 자율주행 로보택시와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 신사업의 성공 가능성은 아직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러한 신사업이 실제로 실적에 기여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일론 머스크 CEO의 비전이 현실화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투자전문지 팁랭크스는 12일 “일론 머스크의 야망은 전기차를 훨씬 넘어 테슬라가 인공지능 신산업 분야의 리더로 자리잡도록 하겠다는 데 이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가 ‘물리적 AI’로 강조하는 분야의 핵심인 자율주행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을 전기차보다 훨씬 큰 사업으로 키워내겠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신사업의 성공은 신기술 기반의 제품이 테슬라에 지속가능한 수익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팁랭크스는 “일론 머스크는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구독으로 꾸준한 수익을 창출하고 로봇이 여러 산업에서 인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미래를 꿈꾸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계획이 성공한다면 테슬라가 전기차 제조사를 넘어 엔비디아나 애플 등 소프트웨어를 주요 성장동력으로 삼은 기업과 닮아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다만 투자기관 트루이스트는 보고서를 내고 “테슬라의 물리적 AI 기반 제품은 아직 갈 길이 멀다”며 “현재 테슬라 기업가치 대부분은 실적을 거의 내지 못하는 프로젝트에 기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론 머스크가 강조하는 테슬라의 여러 신사업이 아직 프로젝트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이 신중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트루이스트는 일론 머스크의 야심찬 비전이 이미 주가에 대부분 반영되어 있다며 테슬라 목표주가를 406달러로 제시했다.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다.

11일 미국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439.62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팁랭크스는 “현재 테슬라 주가는 일론 머스크의 야망이 실현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며 “앞으로 수 년 안에 그의 구상이 산업 혁신을 주도할지, 아니면 미래는 아직 멀다는 점을 보여주는 데 그칠지 판가름날 것”이라고 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