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HK이노엔은 3분기에 음료부문 제조 품질이슈에 따른 리콜 영향으로 H&B의 수익성 훼손이 지속됐다.
신영증권은 30일 HK이노엔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6만1천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29일 기준 주가는 4만8850원에 거래를 마쳤다.
HK이노엔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3.7% 증가한 2608억 원, 영업이익은 16.4% 늘어난 259억 원, 영업이익률 9.9%를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당초 코로나 백신 매출이 9월 말로 예상됐으나 10월로 이월되며 매출에서 200억 원, 영업이익에서 120억 원 가량 차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3분기 전문의약품(ETC)사업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1% 증가한 2457억 원, 영업이익은 53.6% 늘어난 305억 원, 영업이익률 12.4%로 케이캡이 전분기 대비 국내는 -9.0% 감소했으나 해외 출시 확대로 수출이 전분기 대비 157.7% 증가하며 전년대비 30.1% 성장했다.
수액제제(+13.9%), 항암제(+191.6%)도 전년대비 성장하며 양호한 매출 성장 및 수익성을 기록했다.
3분기 H&B부문은 음료 리콜의 반품처리, CVS 재진입, 제조원의 보상합의가 지연되고 있어 전년 동기대비 34.7% 줄어든 151억 원으로 크게 부진하며 적자 폭이 확대했다.
3분기 실적이 다소 실망스러우나 코로나 백신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약 200억 원, 120억 원 수준으로 확정적이다. 당초 전체 2038억 원의 매출 예상했으나 수수료 수입만 계상으로 확정됐다.
케이캡과 수액제제, 항암제의 매출 성장이 지속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ETC부문은 호실적을 전망한다.
H&B의 음료 리콜이슈의 빠른 후속처리 완료 및 공급 정상화 연말 컨디션 매출 회복이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의 열쇠가 될 것이다. 연내 미국 파트너사의 케이캡 미국 허가 신청 기대하며 이후 유럽 판권 협상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케이캡에 더해 수액제제, 항암제, 순환기계 3개 부문 품목의 성장이 HK이노엔 ETC 부문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끌 전망이다. 그럼에도 H&B부문이 경쟁심화 등으로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H&B 사업의 구조적/전략적 개선방안을 기대해 볼 시점이다.
정유경 연구원은 “H&B의 부진을 만회하려면 ETC부문의 주력품목 외에도 신규 성장 동력이 있어야 주가의 재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HK이노엔의 2025년 매출액은 1조353억 원, 영업이익은 1113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
신영증권은 30일 HK이노엔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6만1천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29일 기준 주가는 4만8850원에 거래를 마쳤다.
▲ HK이노엔의 2026년 매출액은 1조871억 원, 영업이익은 1134억 원으로 추정된다. < HK이노엔>
HK이노엔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3.7% 증가한 2608억 원, 영업이익은 16.4% 늘어난 259억 원, 영업이익률 9.9%를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당초 코로나 백신 매출이 9월 말로 예상됐으나 10월로 이월되며 매출에서 200억 원, 영업이익에서 120억 원 가량 차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3분기 전문의약품(ETC)사업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1% 증가한 2457억 원, 영업이익은 53.6% 늘어난 305억 원, 영업이익률 12.4%로 케이캡이 전분기 대비 국내는 -9.0% 감소했으나 해외 출시 확대로 수출이 전분기 대비 157.7% 증가하며 전년대비 30.1% 성장했다.
수액제제(+13.9%), 항암제(+191.6%)도 전년대비 성장하며 양호한 매출 성장 및 수익성을 기록했다.
3분기 H&B부문은 음료 리콜의 반품처리, CVS 재진입, 제조원의 보상합의가 지연되고 있어 전년 동기대비 34.7% 줄어든 151억 원으로 크게 부진하며 적자 폭이 확대했다.
3분기 실적이 다소 실망스러우나 코로나 백신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약 200억 원, 120억 원 수준으로 확정적이다. 당초 전체 2038억 원의 매출 예상했으나 수수료 수입만 계상으로 확정됐다.
케이캡과 수액제제, 항암제의 매출 성장이 지속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ETC부문은 호실적을 전망한다.
H&B의 음료 리콜이슈의 빠른 후속처리 완료 및 공급 정상화 연말 컨디션 매출 회복이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실적의 열쇠가 될 것이다. 연내 미국 파트너사의 케이캡 미국 허가 신청 기대하며 이후 유럽 판권 협상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케이캡에 더해 수액제제, 항암제, 순환기계 3개 부문 품목의 성장이 HK이노엔 ETC 부문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끌 전망이다. 그럼에도 H&B부문이 경쟁심화 등으로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H&B 사업의 구조적/전략적 개선방안을 기대해 볼 시점이다.
정유경 연구원은 “H&B의 부진을 만회하려면 ETC부문의 주력품목 외에도 신규 성장 동력이 있어야 주가의 재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HK이노엔의 2025년 매출액은 1조353억 원, 영업이익은 1113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