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과 미국이 관세 협상의 핵심 쟁점이었던 한국의 대미 투자 3500억 달러(약 497조 원)와 관련해 연간 한도 설정에 합의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뒤 진행된 브리핑을 통해, 3500억 달러 가운데 2천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한도를 200억 달러(약 28조4천억 원)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대미 금융투자 3천500억 달러는 현금 투자 2천억 달러와 조선업 협력 1천500억 달러로 구성된다”고 전했다.
이어 김 실장은 “일본이 미국과 합의한 5천500억 달러 금융 패키지와 유사한 구조지만 우리는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 달러로 설정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또 “연간 200억 달러의 한도 내에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투자하기 때문에 우리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 있다”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외환시장 불안이 우려되는 경우 납입 시기와 금액의 조정을 요청할 별도 근거도 마련했다.
김 실장은 이번 합의를 놓고 “투자 약정은 2029년 1월까지로 정해졌지만 실제 조달은 장기간 이뤄지고 시장 매입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조달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더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뒤 진행된 브리핑을 통해, 3500억 달러 가운데 2천억 달러를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한도를 200억 달러(약 28조4천억 원)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 한국과 미국이 대미 투자 3500억 달러와 관련해 연간 한도에 설정에 합의했다. 사진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9일 경북 경주 APEC 미디어센터에서 한미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는 모습.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김 실장은 “대미 금융투자 3천500억 달러는 현금 투자 2천억 달러와 조선업 협력 1천500억 달러로 구성된다”고 전했다.
이어 김 실장은 “일본이 미국과 합의한 5천500억 달러 금융 패키지와 유사한 구조지만 우리는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 달러로 설정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또 “연간 200억 달러의 한도 내에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투자하기 때문에 우리 외환시장이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 있다”며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외환시장 불안이 우려되는 경우 납입 시기와 금액의 조정을 요청할 별도 근거도 마련했다.
김 실장은 이번 합의를 놓고 “투자 약정은 2029년 1월까지로 정해졌지만 실제 조달은 장기간 이뤄지고 시장 매입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조달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더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