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허윤홍 GS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올해 도시정비사업 신규수주 5조 원을 돌파하며 사상 3번 째기록을 세웠다. 대표이사 취임 첫 해인 지난해 도시정비사업 수주 규모가 3조 원 대였으나 이를 대폭 키우는 데 성공한 것이다.

다만 허 사장은 올해 남은 주요 도시정비사업 수주 후보군의 시공사 선정 일정으로 볼 때 자체 최고 기록인 8조 원 이상의 일감 달성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GS건설 올해 도시정비 수주 역대 3번째, 허윤홍 최고기록 경신은 만만치 않아

허윤홍 GS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올해 도시정비 수주 반등에 성공했다.


29일 GS건설에 따르면 전날 열린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95%에 육박하는 토지 소유자의 찬성표를 받아 시공사로 선정됐다.

이번 결과를 토대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향후 GS건설을 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다.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은 서울 도봉구 쌍문동 138번지 일대 지하 5층~지상 최고 45층, 11개 동, 1404세대를 짓는 공사다. 총공사비는 5836억 원이다.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은 민간이 재개발하기 쉽지 않은 역세권에 용도지역 상향 혜택과 함께 토지주택공사가 시행자로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건설사는 토지주택공사와 함께 복합사업참여자로 공사를 수행한다.

허 사장은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을 통해 올해 도시정비사업 신규수주 성과를 5조 원 이상으로 늘리는 데 성공했다.

GS건설은 올해 1월 부산 수영1구역 재개발사업(6374억 원), 서울 중화5구역 재개발사업(6498억 원)을 동시에 수주하며 연초부터 빠르게 도시정비 일감을 쌓았다.

이어 잠실우성아파트 재건축사업(1조6427억 원) 등 서울 도시정비 물량과 함께 사직3구역 재개발사업(4082억 원)으로 부산에서도 추가로 시공권을 확보했다.

전날 쌍문역 서측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까지 GS건설은 올해 8건에서 모두 5조1440억 원의 도시정비사업을 수주했다.

대표적 신사업이었던 GS이니마 매각 완료가 가까워지는 만큼 허 사장에게 서울, 지방광역시 등의 도시정비사업 수주 호조는 향후 실적 확대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허 사장은 향후 GS건설 주택사업에서 꾸준히 실적을 창출할 수 있는 일감을 쌓아둔 것으로 평가된다.

GS건설의 올해 2분기 말 기준 주택사업 수주잔고는 31조7797억 원에 이른다. 지난해 연간 건축·주택 사업부문 매출인 9조5109억 원과 비교하면 3년 치 이상의 일감이다.

여기에 사업시행인가·사업계획 승인 전 시공권 확보 물량(약정잔고)도 15조684억 원을 보유하고 있다. 약정잔고까지 더한 주택사업 수주잔고에서 80% 이상이 서울·수도권 및 광역시 등 사업성이 우수한 일감으로 이뤄져 있다.

허 사장은 역대 GS건설 도시정비사업 연간 수주로 봐도 올해 손에 꼽히는 성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2018년 8조100억 원, 2022년 7조1476억 원 도시정비사업 시공권을 획득했던 GS건설은 올해 2021년 기록했던 5조1437억 원보다 높은 연간 수주를 기록하게 됐다.

허 사장은 취임 2년차에 역대 세 번째에 달하는 도시정비사업 신규 수주 기록을 달성했다. 허 사장은 지난해 GS건설 아파트 브랜드 ‘자이(Xi)’를 22년 만에 리뉴얼하고 인천 검단 사고 뒤 주택사업 신뢰 회복에 힘썼는데 효과를 본 것으로 읽힌다. 

다만 시공사 선정 일정에 따라 애초 기대됐던 8조 원 이상의 역대 최대 수주는 쉽지 않은 상황에 놓인 것으로 분석된다.

GS건설은 2조1450억 원 규모의 성수1지구 재개발사업과 6856억 원 규모의 송파한양2차 재건축사업 등 서울 핵심사업지에서 2건의 도시정비사업 입찰에 모두 참여하며 수주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지방에서 소규모 도시정비사업 수주만 추가해도 역대 최고 기록 달성이 가능할 수 있다는 관측이 있었다.

하지만 도시정비업계에 따르면 성수1지구 재개발사업과 송파한양2차 재건축사업 모두 입찰조건 변경 등 탓에 첫 입찰에서 GS건설이 단독참여했음에도 신속한 시공사 선정 절차를 통해 올해 안으로 시공사 선정 결과가 나오기가 어렵다는 관측이 많다.

물론 올해 안에 시공사 선정이 이뤄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나 현실적 일정으로 볼 때 허 사장의 도시정비사업 최고 기록 경신은 내년 이후로 미뤄야 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에서는 허 사장이 성수1지구를 비롯해 압구정4·5구역, 여의도 삼부아파트 등 향후 GS건설이 시공권을 바라보고 있는 서울 핵심 도시정비사업에서 꾸준히 경쟁력을 높인다면 올해까지 7년 연속 1위를 바라보는 현대건설의 강력한 대항마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이 나온다.

GS건설 관계자는 "자이(Xi)가 지닌 도시정비사업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각 사업장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한 전략이 주효하고 있다"며 "사업 안정성이 높은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 중심의 선별적으로 수주한 것이 특징으로 남은 기간에도 도시정비 강자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