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솔루스첨단소재는 26일 프랑스 배터리 기업 ACC로부터 고강도 제품 ‘HTS’ 6마이크론(㎛) 전지박 단독 승인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유럽 내 글로벌 배터리 기업로부터 하이엔드 제품 승인을 받은 전지박 기업은 솔루스첨단소재가 유일하다.
전기차 배터리는 경량화 흐름에 따라 고온·고압 환경에서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고강도·극박 전지박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8㎛ 중심에서 6㎛ 이하의 제품으로 전환되고 있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유럽 소재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6㎛ 두께의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기업이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최소 두께 4㎛, 최대 강도 70 kgf/㎟, 연신율 15%의 제품 개발 및 생산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BF(표준)와 MTS(중강도), SR/HTS/HE(고강도·고연신)의 풀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어 다양한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회사 측은 2026년부터 하이엔드 전지박 수요가 본격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부터 ACC, CATL 등 글로벌 배터리사를 대상으로 양산 공급을 추진한다.
곽근만 솔루스첨단소재 대표이사는 “하이엔드 전지박 제품들이 실제 고객사의 승인을 얻으며 유럽 배터리 생산 허브 내에서 당사 기술력과 품질 신뢰도가 검증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하이엔드 제품에 대한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현재 유럽 내 글로벌 배터리 기업로부터 하이엔드 제품 승인을 받은 전지박 기업은 솔루스첨단소재가 유일하다.

▲ 솔루스첨단소재 헝가리 전지박 공장 전경. <솔루스첨단소재>
전기차 배터리는 경량화 흐름에 따라 고온·고압 환경에서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는 고강도·극박 전지박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8㎛ 중심에서 6㎛ 이하의 제품으로 전환되고 있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유럽 소재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6㎛ 두께의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기업이다.
솔루스첨단소재는 최소 두께 4㎛, 최대 강도 70 kgf/㎟, 연신율 15%의 제품 개발 및 생산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BF(표준)와 MTS(중강도), SR/HTS/HE(고강도·고연신)의 풀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어 다양한 수요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회사 측은 2026년부터 하이엔드 전지박 수요가 본격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부터 ACC, CATL 등 글로벌 배터리사를 대상으로 양산 공급을 추진한다.
곽근만 솔루스첨단소재 대표이사는 “하이엔드 전지박 제품들이 실제 고객사의 승인을 얻으며 유럽 배터리 생산 허브 내에서 당사 기술력과 품질 신뢰도가 검증되고 있다”며 “글로벌 시장에서 하이엔드 제품에 대한 기술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