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국수력원자력이 국내 최초로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를 조성했다.
한수원은 25일 경북 안동시 임하 다목적댐 공원에서 ‘임하댐 수상태양광 집적화단지 사업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임하댐 수상태양광 설비는 설비용량 47.2MW(메가와트) 규모로 2021년 12월 국내 제1호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됐다.
실시기관으로 안동시, 공동개발사로 한수원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참여해 지난 7월30일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수상태양광은 육상태양광보다 발전효율이 높고 육상태양광의 단점으로 꼽히는 환경 훼손을 최소화해 태양광 입지를 다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번에 준공한 수상태양광은 낮에는 수상태양광을, 밤에는 수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교차발전’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임하댐 수력발전소 송전계통을 공유한다.
이를 놓고 한전은 전력망 포화에 따른 송전계통 접속 지연 문제를 해결한 획기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형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믹스사업본부장은 “친환경과 안전이 핵심인 시대에 임하댐 수상태양광 집적화단지가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한수원은 앞으로도 깨끗하고 지속할 수 있는 에너지 생산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
한수원은 25일 경북 안동시 임하 다목적댐 공원에서 ‘임하댐 수상태양광 집적화단지 사업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 김형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믹스사업본부장이 25일 경북 안동시 임하 다목적댐 공원에서 열린 ‘임하댐 수상태양광 집적화단지 사업 준공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임하댐 수상태양광 설비는 설비용량 47.2MW(메가와트) 규모로 2021년 12월 국내 제1호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됐다.
실시기관으로 안동시, 공동개발사로 한수원과 한국수자원공사가 참여해 지난 7월30일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갔다.
수상태양광은 육상태양광보다 발전효율이 높고 육상태양광의 단점으로 꼽히는 환경 훼손을 최소화해 태양광 입지를 다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번에 준공한 수상태양광은 낮에는 수상태양광을, 밤에는 수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교차발전’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임하댐 수력발전소 송전계통을 공유한다.
이를 놓고 한전은 전력망 포화에 따른 송전계통 접속 지연 문제를 해결한 획기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형일 한국수력원자력 에너지믹스사업본부장은 “친환경과 안전이 핵심인 시대에 임하댐 수상태양광 집적화단지가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한수원은 앞으로도 깨끗하고 지속할 수 있는 에너지 생산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