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두산에너빌리티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소형모듈원전(SMR) 수주를 늘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NH투자증권은 25일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 한달 동안 미국의 뉴스케일파워 및 엑스에너지와 각각 최대 6기가와트(GW) 규모의 대형 계약을 추진했다"며 "내년부터 본격적 SMR 수주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뉴스케일파워와 엑스에너지가 만드는 SMR은 2030년대 초반부터 단계적으로 운영될 계획인데 5년 이상의 건설 기간을 감안하면 두산에너빌리티가 맡을 기자재는 내년부터 제작된다는 것이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총 12GW의 SMR 계약이 진행된다면 두산에너빌리티는 5년치 일감을 확보한 셈"이라며 "이 밖에 진행될 프로젝트를 감안하면 증설은 불가피하다"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두산에너빌리티는 내년까지 증설 관련 세부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SMR 시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형 원전에선 웨스팅하우스와 합의에서 한국형 원전인 APR1400 채택 여부에 따라 추가 수주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NH투자증권은 두산에너빌리티 주식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가는 8만원을 유지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은 4조3040억 원, 영업이익은 2920억 원을 각각 낼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155% 늘어난 것으로 시장 컨센서스(추청치 평균)에 부합하는 것이다. 박창욱 기자
NH투자증권은 25일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난 한달 동안 미국의 뉴스케일파워 및 엑스에너지와 각각 최대 6기가와트(GW) 규모의 대형 계약을 추진했다"며 "내년부터 본격적 SMR 수주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 두산에너빌리티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소형모듈원전(SMR) 수주를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케일파워와 엑스에너지가 만드는 SMR은 2030년대 초반부터 단계적으로 운영될 계획인데 5년 이상의 건설 기간을 감안하면 두산에너빌리티가 맡을 기자재는 내년부터 제작된다는 것이다.
이민재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총 12GW의 SMR 계약이 진행된다면 두산에너빌리티는 5년치 일감을 확보한 셈"이라며 "이 밖에 진행될 프로젝트를 감안하면 증설은 불가피하다"고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두산에너빌리티는 내년까지 증설 관련 세부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SMR 시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형 원전에선 웨스팅하우스와 합의에서 한국형 원전인 APR1400 채택 여부에 따라 추가 수주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NH투자증권은 두산에너빌리티 주식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가는 8만원을 유지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은 4조3040억 원, 영업이익은 2920억 원을 각각 낼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 155% 늘어난 것으로 시장 컨센서스(추청치 평균)에 부합하는 것이다.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