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9일 열린 소규모 재건축 활성화를 위한 찾아가는 주민설명회 모습. <서울시>
서울시는 지난 9일부터 소규모 재건축 사업 활성화를 위한 주민설명회를 열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해 제2종·제3종 일반주거지역의 소규모 건축물 용적률은 5월19일 한시적으로 3년 동안 완화됐다.
제2종 지역은 200%에서 250%로, 제3종지역은 250%에서 300%로 용적률이 높아졌다.
서울시는 앞으로 3년 동안 60곳을 발굴해 주택 8천 가구를 공급하는 것으로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 사업을 추진하고 있거나 서울시의 사업성 분석을 받은 사업지 가운데 ‘집중관리 사업장’ 30곳을 발굴하고 ‘신규 사업장’ 30곳을 추가로 찾아 공공지원을 병행한다.
서울시는 ‘집중관리 사업장’에는 용적률 추가 완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단지별 자문이 필요하면 서울시 공공건축가 자문을 추가로 지원한다. 지난 9일 집중관리 사업장 대상 첫 주민설명회도 열었다.
‘신규사업장’은 30년 이상 노후·불량 건축물 약 2620곳을 대상으로 권역별 주민설명회를 개최한 뒤 발굴한다. 서울시는 개발의지가 있는 사업지 약 30곳에 용적률 완화 가능 여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치구와 협업해 초기 컨설팅을 지원한다.
권역별 설명회는 9월 넷째 주부터 7개 권역에서 진행되며 자세한 일정은 서울시 홈페이지와 자치구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그동안 움츠렸던 소규모 재건축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직접 찾아가는 설명회를 열고 강화된 공공지원도 제공한다”며 “서울시는 실질적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환경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