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무단 소액결제가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 이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KT는 침해사고 신고 접수 뒤 가입자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 가능성을 언급했다.
과기정통부는 불법 기지국이 다른 장소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KT에 불법 기지국이 통신망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즉각적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KT는 현재 운영 중인 기지국 중 해커가 사용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고, 과기정통부 요구에 따라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9일 9시부터 전면 제한했다.
과기정통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와 어떠한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측은 “관련 내용을 다른 통신사에도 공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불법 기지국 외 다른 가능한 침해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KT는 침해사고 신고 접수 뒤 가입자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 가능성을 언급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 소액결제 사건이 초소형 불법 기지국을 통해 이뤄졌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과기정통부는 불법 기지국이 다른 장소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KT에 불법 기지국이 통신망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즉각적 대책을 요구했다.
이에 KT는 현재 운영 중인 기지국 중 해커가 사용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고, 과기정통부 요구에 따라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9일 9시부터 전면 제한했다.
과기정통부는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와 어떠한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측은 “관련 내용을 다른 통신사에도 공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불법 기지국 외 다른 가능한 침해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