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난방공사 키르기스스탄과 업무협약, 고효율·친환경 K-난방 구축 지원

정용기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왼쪽 4번째)과 아이벡 비슈케크 시장(왼쪽 5번째)이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지역난방공사>

[비즈니스포스트]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

지역난방공사는 9일 키르기스스탄에서 비슈케크시청 및 에너지부와 각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시는 수도권의 인구 집중과 노후 열공급망 문제로 안정적·효율적 난방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상황에 놓여 있다.

지역난방공사는 비슈케크시와의 협약을  기반으로 △고효율·친환경 K-난방 도입 전략 수립 및 실행 △탄소중립을 위한 전략 및 방안 수립 △ 지역난방 운영 및 유지관리 기술 교육 등을 약속했다.

이번 협력은 지난 6월 주한 키르기스스탄 아이다 이스마일로바 대사가 지역난방공사 본사를 방문해 K-난방 시스템의 키르기스스탄 적용 가능성을 직접 타진하면서 시작됐다.

지역난방공사는 당시 이스마일로바 대사가 한국의 고효율·친환경 지역난방 기술에 큰 관심을 보이며 우즈베키스탄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역난방 현대화 사업과 같은 협력 모델을 키르기스스탄에도 적용할 수 있기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진행된 키르기스스탄 에너지부와의 협약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에너지 효율화 로드맵 △바이오매스, 태양열, 소각열 등 재생에너지와 연계된 열공급 모델 개발 △선진 K-난방 운영 및 유지보수 기술 협력 등을 추진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지역난방공사는 바라봤다.

정용기 한국지역난방공사 사장은 “비슈케크 시청과 에너지부와의 협력은 도시와 국가 차원의 이중적 협력 구조를 동시에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한국의 K-난방 모델을 바탕으로 키르기스스탄이 직면한 에너지 공급 문제 해결과 대기 환경 개선 및 효율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조경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