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7일 전체회의를 열어 SK텔레콤의 해킹사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처분안을 상정하기로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위원회 측은 전체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되며, 이날 처분안에 대한 결론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위원회는 4월 SK텔레콤에서 해킹사고가 발생하자 사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조사를 진행해왔다.
SK텔레콤은 해킹 사고로 대규모 개인정보를 유출한 데 따라 1100억~1200억 원 수준의 과징금을 부과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제재가 현실화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금까지 부과한 과징금 가운데 단연 최대 규모로, 위원회가 이번 사안을 ‘매우 중대한 위반행위’로 판단한 결과로 해석된다.
최대 5천억 원까지 이를 수 있다는 당초 예측보다 과징금 규모가 낮아질 가능성이 커진 것은 SK텔레콤의 보상안과 정보보호 투자 계획 등 다양한 감경 사유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조승리 기자
위원회 측은 전체회의가 비공개로 진행되며, 이날 처분안에 대한 결론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27일 전체회의에 SK텔레콤의 해킹사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처분안을 상정한다. <연합뉴스>
위원회는 4월 SK텔레콤에서 해킹사고가 발생하자 사고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조사를 진행해왔다.
SK텔레콤은 해킹 사고로 대규모 개인정보를 유출한 데 따라 1100억~1200억 원 수준의 과징금을 부과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제재가 현실화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금까지 부과한 과징금 가운데 단연 최대 규모로, 위원회가 이번 사안을 ‘매우 중대한 위반행위’로 판단한 결과로 해석된다.
최대 5천억 원까지 이를 수 있다는 당초 예측보다 과징금 규모가 낮아질 가능성이 커진 것은 SK텔레콤의 보상안과 정보보호 투자 계획 등 다양한 감경 사유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