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디스플레이가 19~2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제25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술대회(IMID 2025)에서 참가 기업 가운데 가장 많은 기술 논문을 발표해, 연구개발(R&D) 리더십을 뽐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IMID 2025서 '전력 소모를 줄인 고성능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해상도 향상 기술', 'OLED 패널의 부식 불량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 등 69편의 기술 논문을 발표한다고 20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 'IMID 2025'서 69편 최다 논문 발표, AI응용 기술 소개

▲ 삼성디스플레이가 19~2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제25회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술대회(IMID 2025)에서 69편의 기술 논문을 발표한다. <삼성디스플레이>


특히 올해는 발표 논문의 30%가 넘는 22편이 인공지능(AI),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것이다.

생산기술연구소 AI팀 유영욱 프로와 연구팀은 '전력 소모를 줄인 고성능 AI 기반 이미지 해상도 향상 기술' 논문에서 TV나 모니터 안의 작은 칩(TCON)에서 직접 작동하는 초소형 AI를 만들어, FHD를 UHD의 고화질 이미지로 실시간 변환하는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소개했다.

소형화된 인공신경망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화질 저하와 연산 부담을 최소화하고, 전력 소모까지 낮추는 기술이다.

AI 구현에 필요한 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도 주목을 받았다.

디스플레이 연구소 CAE팀 박현성 프로와 연구팀의 'OLED 패널의 부식 불량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 논문에서는 OLED 패널의 부식 가능성을 회로 시뮬레이션으로 빠르게 예측해 OLED 패널의 고장 위험을 낮추는 검증 기법을 제안했다.

하동완 삼성디스플레이 설계연구팀 상무는 이번 학회에서 초청(Invited) 세션 발표를 진행한다. 초청 발표는 학회가 직접 선정한 권위 있는 세션으로, 해당 연구 주제의 전문성과 학문·산업적 영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에 하 상무가 발표하는 논문은 'RGB 직접 패터닝 기술을 적용한 초고해상도 올레도스' 로, 컬러필터 없이 RGB 픽셀을 직접 패터닝하고 초정밀 픽셀 정렬 기술을 적용해 색 손실 없이 선명한 올레도스 화질을 구현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이날 '갤럭시 Z 폴드 스페셜 에디션'의 메인 디스플레이에 적용된 폴더블 OLED는 'IMID 올해의 디스플레이 대상'을 수상했다.

이 제품은 전작 대비 두께, 무게와 주름 특성을 개선해 편의성을 높였고,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즈 확장으로 멀티테스킹과 콘텐츠 소비에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