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권 소비자보호 실태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금융범죄를 놓고는 “수사당국과 긴밀하게 공조하는 등 금융감독원의 모든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찬진 원장이 취임 당일부터 강한 금감원을 예고했다.
전날 금융감독원장 깜짝 발표 뒤 금융업계 안팎에서 새어 나온 감독권 강화에 대한 우려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모양새다.
이 원장은 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변호사 출신으로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부회장과 참여연대 집행위원장 등을 지냈고 이재명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사회1분과장을 맡았다.
이 원장의 이런 경력은 금융권의 우려를 키우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 원장은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다만 금융 관련 경력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는 이날 YTN라디오 ‘뉴스파이팅’에 출연해 “이찬진 원장은 금융 감독에 대한 경력이 없다”며 “전문성 없는 사람이 들어오면 스스로 잘 모르기 때문에 업계 군기반장하고, 때려잡기하고 이런 거 위주로 많이 한다”고 꼬집었다.
이 원장이 참여연대 출신 진보개혁 성향 인사라는 점도 금융권의 긴장감을 높이는 요소로 평가된다.
앞서 이 원장과 같은 참여연대 출신인 김기식 전 금감원장은 한 때 금융권 저승사자라고 불렸다.
진보개혁 성향 인사로 분류되는 윤석헌 전 금감원장은 금감원 검사권을 강화해 호랑이 원장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원장을 향한 금융권의 우려는 이뿐만이 아니다.
금융권은 대통령 최측근, 법조인 ‘실세’ 금감원장이 다시 왔다는 점에서 전임인 이복현 전 금감원장을 떠올리고 있다.
이복현 전 원장은 일명 ‘윤석열 사단’의 막내이자 검사 출신 첫 금감원장으로 윤석열정부의 실세로 평가됐다.
일각에서는 ‘관료’ 금융위원장과 ‘실세’ 금감원장 구도가 재현됐다는 점에서 이복현 전 원장 때의 월권 논란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고 바라본다.
다만 이 원장은 소통 강화를 통해 금융권의 우려를 정면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전날 임명 뒤 몇몇 매체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업계와 금감원 내부 목소리를 듣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날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발언에서도 금감원과 금융위의 관계 설정을 염두에 둔 모습이 읽혔다.
이 후보자는 이 원장과 관계 설정을 두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시장·금융산업 발전, 국정과제 수행에서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며 “원팀 정신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의 우려를 의식한 듯 이날 취임식 이후 기자실을 찾아 소통과 토론의 가치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어떤 괴물이 왔나 상상력을 발휘하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저는 의외로 과격한 사람이 아니다”며 “저에게 자본시장이나 금융시장에 불안정을 초래할 만한 어떤 액션이 나올 것을 기대하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그는 "살아온 환경 자체가 독자적으로 결정하는 사람이 아니고 토론 과정을 거쳐 합의되면 그때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다”며 “앞으로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기회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조혜경 기자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이 14일 취임식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융범죄를 놓고는 “수사당국과 긴밀하게 공조하는 등 금융감독원의 모든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찬진 원장이 취임 당일부터 강한 금감원을 예고했다.
전날 금융감독원장 깜짝 발표 뒤 금융업계 안팎에서 새어 나온 감독권 강화에 대한 우려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모양새다.
이 원장은 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변호사 출신으로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부회장과 참여연대 집행위원장 등을 지냈고 이재명정부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사회1분과장을 맡았다.
이 원장의 이런 경력은 금융권의 우려를 키우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 원장은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다만 금융 관련 경력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는 이날 YTN라디오 ‘뉴스파이팅’에 출연해 “이찬진 원장은 금융 감독에 대한 경력이 없다”며 “전문성 없는 사람이 들어오면 스스로 잘 모르기 때문에 업계 군기반장하고, 때려잡기하고 이런 거 위주로 많이 한다”고 꼬집었다.
이 원장이 참여연대 출신 진보개혁 성향 인사라는 점도 금융권의 긴장감을 높이는 요소로 평가된다.
앞서 이 원장과 같은 참여연대 출신인 김기식 전 금감원장은 한 때 금융권 저승사자라고 불렸다.
진보개혁 성향 인사로 분류되는 윤석헌 전 금감원장은 금감원 검사권을 강화해 호랑이 원장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원장을 향한 금융권의 우려는 이뿐만이 아니다.
금융권은 대통령 최측근, 법조인 ‘실세’ 금감원장이 다시 왔다는 점에서 전임인 이복현 전 금감원장을 떠올리고 있다.
이복현 전 원장은 일명 ‘윤석열 사단’의 막내이자 검사 출신 첫 금감원장으로 윤석열정부의 실세로 평가됐다.
일각에서는 ‘관료’ 금융위원장과 ‘실세’ 금감원장 구도가 재현됐다는 점에서 이복현 전 원장 때의 월권 논란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고 바라본다.
다만 이 원장은 소통 강화를 통해 금융권의 우려를 정면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14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준비단 사무실에 첫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원장은 전날 임명 뒤 몇몇 매체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업계와 금감원 내부 목소리를 듣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날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의 발언에서도 금감원과 금융위의 관계 설정을 염두에 둔 모습이 읽혔다.
이 후보자는 이 원장과 관계 설정을 두고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시장·금융산업 발전, 국정과제 수행에서 긴밀히 협조해야 한다”며 “원팀 정신을 가지고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의 우려를 의식한 듯 이날 취임식 이후 기자실을 찾아 소통과 토론의 가치를 강조했다.
이 원장은 “어떤 괴물이 왔나 상상력을 발휘하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저는 의외로 과격한 사람이 아니다”며 “저에게 자본시장이나 금융시장에 불안정을 초래할 만한 어떤 액션이 나올 것을 기대하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그는 "살아온 환경 자체가 독자적으로 결정하는 사람이 아니고 토론 과정을 거쳐 합의되면 그때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다”며 “앞으로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기회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