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건설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높아진 원가율이 시장 예상보다 늦게 반영되고 있어 수익성을 회복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분석됐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2일 현대건설 목표주가를 기존 4만3천 원에서 4만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9일 현대건설 주가는 3만2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은 낮아진 시장기대치(컨센서스)도 하회했다”며 “하반기 준공예정 현장에서 추가원가가 발생할 수 있어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도 기존보다 29%, 38% 하향한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8조6천억 원, 영업이익 1473억 원을 냈다. 지난해에 비해 매출은 20.4%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34.1% 감소한 것이다.
2분기 원가율이 상승한 것이 실적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엔지니어링 하자보수공사 비용 반영 외에 해외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다”며 “본사 도급증액 축소로 주택 진행원가율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2026년 이후에는 국내외 수주와 투자가 늘어나 성장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뒤늦게 원가 반영이 된 것은 아쉽지만 건설업종 전반 투자심리 악화요인은 아니다”며 “신규현장들의 경쟁력 있는 수주 및 투자 성과를 고려했을 때 저수익 현장이 준공되는 2026년 이후 실적 기대는 유효하다”고 바라봤다.
현대건설은 하반기에 준자체사업을 착공하며 해외지분 투자 등 사업이익 다각화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건설이 2024년 연결기준 매출 33조9168억 원, 영업이익 6737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4.4% 늘고 영업이익은 14.2% 줄어드는 것이다. 김인애 기자
높아진 원가율이 시장 예상보다 늦게 반영되고 있어 수익성을 회복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분석됐다.
▲ 현대건설이 수익성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됐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2일 현대건설 목표주가를 기존 4만3천 원에서 4만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9일 현대건설 주가는 3만2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은 낮아진 시장기대치(컨센서스)도 하회했다”며 “하반기 준공예정 현장에서 추가원가가 발생할 수 있어 올해와 내년 영업이익 추정치도 기존보다 29%, 38% 하향한다”고 말했다.
현대건설은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8조6천억 원, 영업이익 1473억 원을 냈다. 지난해에 비해 매출은 20.4%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34.1% 감소한 것이다.
2분기 원가율이 상승한 것이 실적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엔지니어링 하자보수공사 비용 반영 외에 해외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다”며 “본사 도급증액 축소로 주택 진행원가율도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2026년 이후에는 국내외 수주와 투자가 늘어나 성장 가능성이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뒤늦게 원가 반영이 된 것은 아쉽지만 건설업종 전반 투자심리 악화요인은 아니다”며 “신규현장들의 경쟁력 있는 수주 및 투자 성과를 고려했을 때 저수익 현장이 준공되는 2026년 이후 실적 기대는 유효하다”고 바라봤다.
현대건설은 하반기에 준자체사업을 착공하며 해외지분 투자 등 사업이익 다각화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건설이 2024년 연결기준 매출 33조9168억 원, 영업이익 6737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4.4% 늘고 영업이익은 14.2% 줄어드는 것이다. 김인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