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가 2022년 3분기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3년 만에 역성장했다.
삼성전자는 2022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6조 원, 영업이익 10조8천억 원의 잠정실적을 냈다고 7일 밝혔다.
2021년 3분기보다 매출은 2.7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1.73% 감소했다.
2022년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55%, 영업이익은 23.4% 줄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것은 2019년 4분기 이후 3년 만이다.
글로벌 경기악화 영향에 IT제품 수요 부진으로 메모리반도체와 스마트폰, TV 등의 판매가 당초 기대에 못 미쳤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수익성 악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스포스에 따르면 3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은 2분기보다 모두 10% 이상 하락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부문별 세부 실적은 10월 말에 진행하는 콘퍼런스콜에서 공개된다. 나병현 기자
삼성전자는 2022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6조 원, 영업이익 10조8천억 원의 잠정실적을 냈다고 7일 밝혔다.

▲ 삼성전자는 2022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6조 원, 영업이익 10조8천억 원의 잠정실적을 냈다고 7일 밝혔다.
2021년 3분기보다 매출은 2.7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1.73% 감소했다.
2022년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55%, 영업이익은 23.4% 줄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것은 2019년 4분기 이후 3년 만이다.
글로벌 경기악화 영향에 IT제품 수요 부진으로 메모리반도체와 스마트폰, TV 등의 판매가 당초 기대에 못 미쳤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수익성 악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 시장조사기관 트렌스포스에 따르면 3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은 2분기보다 모두 10% 이상 하락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되는 것이다.
삼성전자의 부문별 세부 실적은 10월 말에 진행하는 콘퍼런스콜에서 공개된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