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증시에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반도체 종목 분할매수 전략이 유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8일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주가 하락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매수의 관점을 갖기는 어렵지만 반도체의 경우 주가의 바닥권에서 분할매수를 통해 비중을 조금씩 늘리는 것도 유효한 대응법으로 판단한다"고 바라봤다.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크게 오르고 달러 초강세가 이어지면서 증시 급락세가 나타나고 있다.
26일 코스피지수는 하루 만에 3% 떨어졌고 2200.94까지 밀려 거래를 마쳤다.
이처럼 국내 증시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기관투자자들은 삼성전자 등 반도체 종목을 위주로 저가 매수세를 보이며 순매수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과 27일 기관투자자는 이틀 연속 삼성전자 주식을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
나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의 경우 이익 전망치가 추가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가가 최저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역사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을 고려하면 분할 매수할 정도로 주가가 낮은 수준인 것은 맞다"고 바라봤다. 박안나 기자
28일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주가 하락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매수의 관점을 갖기는 어렵지만 반도체의 경우 주가의 바닥권에서 분할매수를 통해 비중을 조금씩 늘리는 것도 유효한 대응법으로 판단한다"고 바라봤다.

▲ 국내 증시에서 변동성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반도체 종목 분할매수 전략이 유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사업장.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크게 오르고 달러 초강세가 이어지면서 증시 급락세가 나타나고 있다.
26일 코스피지수는 하루 만에 3% 떨어졌고 2200.94까지 밀려 거래를 마쳤다.
이처럼 국내 증시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기관투자자들은 삼성전자 등 반도체 종목을 위주로 저가 매수세를 보이며 순매수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과 27일 기관투자자는 이틀 연속 삼성전자 주식을 가장 많이 순매수했다.
나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의 경우 이익 전망치가 추가 하향 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가가 최저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역사적으로 낮은 밸류에이션을 고려하면 분할 매수할 정도로 주가가 낮은 수준인 것은 맞다"고 바라봤다.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