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2022년 상반기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제품 일본 수입액이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소부장 수입액 1300억6700만 달러(약 169조5675억 원) 가운데 일본 수입액은 200억7200만 달러(약 26조2140억 원)로 15.4%였다.
이는 소부장 수입액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2년 상반기(24.2%)보다 8.8%포인트 낮은 수치로 반기 기준 최저치다.
소부장 수입 일본 의존도는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조치 이후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상반기 18.8%에서 2019년 상반기 16.9%를 기록한 뒤 2020년 상반기에 17.0%로 소폭 상승했으나 2021년 상반기 15.9%로 떨어졌다.
정부가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계기로 소부장 제품 수입 다변화 및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어 일본 의존도는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019년 말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소부장 특별법)을 만들었으며 국회를 통과한 뒤 2020년 4월부터 시행됐다.
또 정부는 100대 핵심 전략 품목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약 50개의 협력모델을 발굴해 지원하고 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18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철 기자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소부장 수입액 1300억6700만 달러(약 169조5675억 원) 가운데 일본 수입액은 200억7200만 달러(약 26조2140억 원)로 15.4%였다.

▲ 올해 상반기 소부장 제품의 일본 수입액이 대폭 낮아졌다. 사진은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공정.
이는 소부장 수입액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2년 상반기(24.2%)보다 8.8%포인트 낮은 수치로 반기 기준 최저치다.
소부장 수입 일본 의존도는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조치 이후 꾸준히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상반기 18.8%에서 2019년 상반기 16.9%를 기록한 뒤 2020년 상반기에 17.0%로 소폭 상승했으나 2021년 상반기 15.9%로 떨어졌다.
정부가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계기로 소부장 제품 수입 다변화 및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어 일본 의존도는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019년 말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소부장 특별법)을 만들었으며 국회를 통과한 뒤 2020년 4월부터 시행됐다.
또 정부는 100대 핵심 전략 품목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약 50개의 협력모델을 발굴해 지원하고 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18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에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