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방산주 주가가 장중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와 미국의 고강도 긴축에 따른 경기침체 가능성이 더욱 커진 상황에서 방산주가 지닌 방어주로서 매력이 부각되는 것으로 보인다.
 
방산주 주가 장중 강세, 경기침체 가능성에 방어주 매력 부각

▲ 방산주가 14일 장중 강세를 보였다. 이집트 방산 전시회에 참가한 한화. 


14일 오전 11시45분 기준 LIG넥스원 주가는 7.09%(4700원) 오른 7만1천 원에 거래되고 있다.

LIG넥스원 주가는 전날보다 0.75%(500원) 내린 6만5800원에 장을 시작했으나 이내 상승세로 돌아선 뒤 지속해서 상승폭을 키웠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3.96%(1650원) 상승한 4만3300원에 사고 팔리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 역시 전날보다 1.44%(600원) 하락한 4만1050원에 장을 시작했으나 이후 매수세가 몰리며 주가가 빠르게 상승했다.

한국항공우주 주가는 2.63%(1250원) 오른 4만8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화시스템과 현대로템 주가도 각각 1.62%(200원)과 1.37%(250원) 상승한 1만2550원과 1만8400원에 사고 팔리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와 한화시스템, 현대로템 주가도 이날 모두 하락 시작했으나 장 초반 상승세로 돌아섰다.

같은 시각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0.17%(3.86포인트) 내린 2324.75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1~2% 상승도 강세로 여겨진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점점 더 커지는 상황에서 방어주로서 매력이 방산주를 향한 투자심리를 개선한 것으로 보인다.

전날 미국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년 전보다 9.1% 상승했다고 밝혔다. 1981년 이후 4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시장 전망치인 8.8%를 웃돌았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물가상승률을 잡기 위해 7월 말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이상 올릴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가파른 기준금리 상승은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방산주는 국가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국가사업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경기흐름에 실적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평가된다.

해외수출 기대감도 여전히 호재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폴란드는 현재 국내 방산업체의 무기체계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산주 해외수출 기대감은 6월 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기간 열린 윤석열 대통령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의 정상회담 이후 더욱 커졌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당시 스페인 현지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폴란드와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방산협력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며 “이번 정상 세일즈 외교의 첫 번째 성과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폴란드가 한국항공우주의 경공격기 FA-50, 현대로템의 K2전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자회사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LIG넥스원의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Ⅱ 등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