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현대제철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원료 가격은 상승하는 반면 평균판매단가(ASP)는 하락해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제철 목표주가 낮아져, "원료 가격 상승에 판매가격은 하락"

▲ 안동일 현대제철 대표이사 사장.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2일 현대모비스 목표주가를 기존 6만8천 원에서 5만6천 원으로 낮춰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11일 현대제철 주가는 4만13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변 연구원은 “현대제철의 2022년 연결기준 영업이익으로 지난해보다 22% 감소한 1조9085억 원을 예상한다”며 “현대제철이 원료가격 상승을 반영해 철강 가격을 인상할 것이나 이익 상승 동력은 약해질 것이다”고 전망했다.

변 연구원은 건설사 철강재 수요는 양호한 반면 자동차 생산 회복 지연과 가전 수요 둔화 등으로 가격 인상 폭이 원가 상승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제철은 2022년 1분기 매출 6조8065억 원, 영업이익 5895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2021년 1분기보다 매출은 38.1%, 영업이익은 94.0% 늘어나는 것이다.

고로사업부문은 자동차와 가전제품 등에 쓰이는 판재류 평균판매단가(ASP)가 3만5천 원 하락하는 반면 조강의 톤당 원가는 3만5천 원 올라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전기로사업부문의 봉형강은 철스크랩(고철) 가격 상승을 반영해 판매가가 인상되면서 수익성은 소폭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변 연구원은 “자동차강판과 조선용 후판 등에 대한 가격 인상이 중요해진 상황으로 2분기와 3분기는 분기별 이익이 줄어드는 시간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현대제철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7조6430억 원, 영업이익 1조909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21.0% 증가하나 영업이익은 22.0% 감소하는 것이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