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가 신용평가에 통신정보, 쇼핑정보 등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기존에 대출이 어려웠던 고객들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확대한다.
케이뱅크는 중저신용 및 금융정보 부족(씬파일러) 고객의 대출기회 확대와 금융혜택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신용평가모형(CSS)을 대출상품에 적용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케이뱅크는 이번 신용평가모형의 특징으로 고객군별 특성을 반영한 중저신용, 씬파일러 각각의 맞춤형 특화모형을 새로 구축했다는 점을 들었다.
케이뱅크는 소득수준과 대출이력 등 다양한 금융정보를 바탕으로 중저신용 고객과 씬파일러 고객의 신용도 특징을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통신과 쇼핑 정보를 관련법에 따라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가명처리해 금융정보와 결합했다.
통신은 스마트폰 요금제, 할부금, 요금 납부이력 등 서비스 이용 관련 데이터를 대안정보로 활용했다.
쇼핑 정보는 백화점·마트 등에서 패션, 여가활동, 외식, 생활용품 등에 대한 구매 및 이용 패턴을 추가했다.
이에 더해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신용평가모형이 보다 정교한 신용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케이뱅크는 새로운 신용평가모형이 중저신용과 씬파일러 고객의 대출상품 이용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케이뱅크의 시뮬레이션 결과 신규 신용평가모형의 중저신용 고객군 대출 승인율은 기존 모형과 비교해 약 18.3% 증가했다.
특히 금융거래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씬파일러 고객군은 승인율이 약 31.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형로 케이뱅크 리스크관리실장은 "향후 통신 데이터의 사용량 변화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대안정보를 발굴해 신용평가에 접목하겠다"며 "더욱 고도화한 신용평가모형을 통해 대출상품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리스크 관리에도 역량을 지속 쏟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
케이뱅크는 중저신용 및 금융정보 부족(씬파일러) 고객의 대출기회 확대와 금융혜택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신용평가모형(CSS)을 대출상품에 적용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 케이뱅크 로고.
케이뱅크는 이번 신용평가모형의 특징으로 고객군별 특성을 반영한 중저신용, 씬파일러 각각의 맞춤형 특화모형을 새로 구축했다는 점을 들었다.
케이뱅크는 소득수준과 대출이력 등 다양한 금융정보를 바탕으로 중저신용 고객과 씬파일러 고객의 신용도 특징을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통신과 쇼핑 정보를 관련법에 따라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가명처리해 금융정보와 결합했다.
통신은 스마트폰 요금제, 할부금, 요금 납부이력 등 서비스 이용 관련 데이터를 대안정보로 활용했다.
쇼핑 정보는 백화점·마트 등에서 패션, 여가활동, 외식, 생활용품 등에 대한 구매 및 이용 패턴을 추가했다.
이에 더해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신용평가모형이 보다 정교한 신용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케이뱅크는 새로운 신용평가모형이 중저신용과 씬파일러 고객의 대출상품 이용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케이뱅크의 시뮬레이션 결과 신규 신용평가모형의 중저신용 고객군 대출 승인율은 기존 모형과 비교해 약 18.3% 증가했다.
특히 금융거래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씬파일러 고객군은 승인율이 약 31.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형로 케이뱅크 리스크관리실장은 "향후 통신 데이터의 사용량 변화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대안정보를 발굴해 신용평가에 접목하겠다"며 "더욱 고도화한 신용평가모형을 통해 대출상품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리스크 관리에도 역량을 지속 쏟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