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창립기념사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11일 내놓은 한국은행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해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해야 한다”며 “경제회복세가 지속되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금리인상 시사, "완화적 통화정책 질서있게 정상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이 그동안 지속해 온 완화적 통화정책을 경제상황 개선에 맞춰 적절하게 조정해 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이유로 주요국 경제성장세 강화로 수출과 투자 호조가 지속되며 하반기 경제회복세가 좀더 뚜렷해질 것이라는 전망을 들었다.

그러나 이 총재는 “정부 경기부양조치로 계층간 불균형이 확대됐고 자산불평등도 심화되는 등 문제가 생겼다”며 “이런 불균형이 누적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여러 리스크요인이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정부 및 감독당국과 적절한 대응방안을 찾아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과 기후변화 대응에 관련한 계획도 밝혔다.

이 총재는 디지털 전환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하반기부터 모의실험을 통해 디지털화폐 기능과 활용성을 점검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한국은행은 디지털화폐 관련한 제도적 개선방안도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기후변화가 실물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중앙은행 차원에서 대응을 강화한다는 계획도 세워져 있다.

이 총재는 “한국경제가 코로나19 이후 안정적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가 산적해 있다”며 “사명감을 두고 맡은 업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