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건설현장에 자동화 기술을 도입했다.
대우건설은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봇프로세스 자동화(RPA, Robot Process Automation)' 기술을 건설현장에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대우건설은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사람의 일을 대신한다는 의미에서 RPA에 '로봇'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대우건설은 '운정신도시 파크푸르지오'와 '춘천 센트럴타워 푸르지오' 건설현장에 RPA를 적용했다.
RPA는 안전교육 보고서 작성, 외주 기성입력 등 단순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사용자는 현장에서 사내메신저를 이용해 사진파일과 문서내용을 RPA에 보내면 클릭 한 번으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대우건설은 올해 모든 건설현장에 RPA를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통해 매년 2만5천 시간의 단순업무시간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또 음성인식기술, 채팅 로봇(챗봇) 등 기술과 연계해 더욱 고도화한 자동시스템을 구현하겠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대우건설은 2019년 건설현장에 앞서 서울시 중구 을지로 본사에 RPA를 도입해 인사, 재무, 조달 등 15개 팀의 업무 자동화에 활용해왔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직원들이 단순 반복업무를 줄이고 창의적 업무에 몰두할 수 있도록 RPA를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며 "코로나19에서도 업무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RPA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대우건설은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봇프로세스 자동화(RPA, Robot Process Automation)' 기술을 건설현장에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 대우건설이 업무 자동화 시스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 기술을 건설현장에 적용한다. <대우건설>
대우건설은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사람의 일을 대신한다는 의미에서 RPA에 '로봇'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대우건설은 '운정신도시 파크푸르지오'와 '춘천 센트럴타워 푸르지오' 건설현장에 RPA를 적용했다.
RPA는 안전교육 보고서 작성, 외주 기성입력 등 단순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사용자는 현장에서 사내메신저를 이용해 사진파일과 문서내용을 RPA에 보내면 클릭 한 번으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대우건설은 올해 모든 건설현장에 RPA를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통해 매년 2만5천 시간의 단순업무시간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또 음성인식기술, 채팅 로봇(챗봇) 등 기술과 연계해 더욱 고도화한 자동시스템을 구현하겠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대우건설은 2019년 건설현장에 앞서 서울시 중구 을지로 본사에 RPA를 도입해 인사, 재무, 조달 등 15개 팀의 업무 자동화에 활용해왔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직원들이 단순 반복업무를 줄이고 창의적 업무에 몰두할 수 있도록 RPA를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며 "코로나19에서도 업무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RPA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