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40주째 상승세를 보였다.
2·4주택공급대책 기대감과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 확대로 관망세가 나타났지만 재건축사업이 추진되는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유지됐다.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일 기준으로 3월 2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7%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 2주 이후 40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주택공급대책 영향과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으로 매수세가 둔화되며 관망세가 나타났지만 재건축이나 상대적 저평가된 대형 평형 중심으로 상승폭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6%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도봉구(0.08%)는 쌍문동 구축단지와 창동역 역세권 위주로 가격이 높아졌다. 노원구(0.08%)는 상계동과 중계동 대단지 중심으로 상승했고 마포구(0.06%)는 공덕역 역세권 대단지 아파트값이 올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0.07%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축소됐다.
서초구(0.1%)는 잠원동 재건축단지와 서초동 위주로 올랐다. 강남구(0.09%)는 압구정동 재건축단지 중심으로 상승했고 송파구(0.08%)는 방이동 대형 평형과 위례신도시 아파트값이 높아졌다.
강동구는(0.06%)는 고덕동과 길동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양천구(0.11%)는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목동이 올랐고 동작구(0.09%)는 흑석동과 상도동 신축 위주로 가격이 높아졌다.
2월4주차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24%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아파트값은 수도권에서 0.28%, 지방은 0.19% 높아졌다. 상승폭은 수도권이 0.01%포인트 작아졌고 지방은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인천(0.39%), 경기(0.38%), 대전(0.38%), 대구(0.35%), 충북(0.25%), 부산(0.22%), 충남(0.22%), 울산(0.19%), 세종(0.18%), 제주(0.16%), 경북(0.15%) 등에서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
2·4주택공급대책 기대감과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 확대로 관망세가 나타났지만 재건축사업이 추진되는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유지됐다.

▲ 서울 일대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8일 기준으로 3월 2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7%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6월 2주 이후 40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주택공급대책 영향과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으로 매수세가 둔화되며 관망세가 나타났지만 재건축이나 상대적 저평가된 대형 평형 중심으로 상승폭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북 14개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6%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도봉구(0.08%)는 쌍문동 구축단지와 창동역 역세권 위주로 가격이 높아졌다. 노원구(0.08%)는 상계동과 중계동 대단지 중심으로 상승했고 마포구(0.06%)는 공덕역 역세권 대단지 아파트값이 올랐다.
강남 11개구는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0.07%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0.01%포인트 축소됐다.
서초구(0.1%)는 잠원동 재건축단지와 서초동 위주로 올랐다. 강남구(0.09%)는 압구정동 재건축단지 중심으로 상승했고 송파구(0.08%)는 방이동 대형 평형과 위례신도시 아파트값이 높아졌다.
강동구는(0.06%)는 고덕동과 길동 위주로 가격이 상승했다.
양천구(0.11%)는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목동이 올랐고 동작구(0.09%)는 흑석동과 상도동 신축 위주로 가격이 높아졌다.
2월4주차 전국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24%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아파트값은 수도권에서 0.28%, 지방은 0.19% 높아졌다. 상승폭은 수도권이 0.01%포인트 작아졌고 지방은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을 살펴보면 인천(0.39%), 경기(0.38%), 대전(0.38%), 대구(0.35%), 충북(0.25%), 부산(0.22%), 충남(0.22%), 울산(0.19%), 세종(0.18%), 제주(0.16%), 경북(0.15%) 등에서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