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이 햇반에 들어가는 미강 추출물의 국산화 시기를 앞당긴다.
미강 추출물은 쌀겨에서 뽑아낸 식품 원료로 밥의 맛과 향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CJ제일제당은 올해 10월부터 생산하는 햇반 전체물량에 국산 미강추출물을 사용한다고 3일 밝혔다.
CJ제일제당은 햇반에 사용되던 일본산 미강 추출물(0.1%)을 올해 1월을 기점으로 전면적으로 국산화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CJ제일제당은 미강추출물 수입을 올해 7월23일 종료했다.
CJ제일제당은 수년간 미강 추출물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했다.
2019년 햇반에 들어가는 국산 미강 추출물을 개발한 데 이어 2019년 10월부터는 일부 제품에 시범적용하면서 검증을 진행했다.
2020년부터는 100% 국산화를 목표로 국산 미강추출물 제조업체의 생산규모 확대일정에 맞춰 적용물량을 지속해서 늘렸다.
햇반은 99.9% 국산 쌀과 물로 만들어지는 제품으로 0.1% 미만의 미강 추출물이 들어간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미강 추출물은 쌀겨에서 뽑아낸 식품 원료로 밥의 맛과 향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 CJ제일제당은 올해 10월부터 생산하는 햇반 전체물량에 국산 미강추출물을 100% 사용한다고 3일 밝혔다. < CJ제일제당 >
CJ제일제당은 올해 10월부터 생산하는 햇반 전체물량에 국산 미강추출물을 사용한다고 3일 밝혔다.
CJ제일제당은 햇반에 사용되던 일본산 미강 추출물(0.1%)을 올해 1월을 기점으로 전면적으로 국산화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CJ제일제당은 미강추출물 수입을 올해 7월23일 종료했다.
CJ제일제당은 수년간 미강 추출물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했다.
2019년 햇반에 들어가는 국산 미강 추출물을 개발한 데 이어 2019년 10월부터는 일부 제품에 시범적용하면서 검증을 진행했다.
2020년부터는 100% 국산화를 목표로 국산 미강추출물 제조업체의 생산규모 확대일정에 맞춰 적용물량을 지속해서 늘렸다.
햇반은 99.9% 국산 쌀과 물로 만들어지는 제품으로 0.1% 미만의 미강 추출물이 들어간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