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프라잔’의 임상3상에서 환자의 가슴쓰림 증상의 개선을 확인했다.
대웅제약이 2020 미국 소화기학회(DDW)에서 차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프라잔’에 관한 국내 임상3상 데이터를 최초로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코로나19로 학회는 취소됐으나 펙수프라잔의 연구결과는 상위 10%의 우수 포스터로 선정돼 2일부터 전자포스터(e-Poster) 형식으로 발표됐다.
대웅제약이 자체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프라잔은 위벽에서 위산을 분비하는 양성자펌프를 가역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을 갖는 P-CAB 제제다. 역류성식도염(GERD)에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PPI의 차세대 약물이다.
대웅제약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임상3상을 마치고 현재 여러 산 분비 관련 적응증 획득을 위한 추가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연구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대상으로 국내 25개 병원에서 진행한 임상3상 결과다. 임상 결과, 펙수프라잔은 8주까지 내시경상 점막 결손 치료에서 99%의 높은 치료율을 나타냈으며 환자가 약을 복용할 때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적은 양호한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내시경 치료율과 증상 개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위산분비 억제제 효과를 보인 것이다.
투여 초기부터 주, 야간에 상관없이 즉시 가슴쓰림 증상이 개선했으며 위식도역류질환의 비전형적 증상 중 하나인 기침 증상도 개선됐다. 특히 증상이 심한 환자에게 투여할 때 비교군인 ‘에소메프라졸’보다 3배 많은 환자들에게서 가슴쓰림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이사 사장은 “임상3상의 증상 개선 데이터를 바탕으로 펙수프라잔을 계열 내 최고(Best-in-Class)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발표 결과를 통해 앞으로 중국, 미국 등의 글로벌시장에서 펙수프라잔의 빠른 상업화를 위한 활발한 파트너링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대웅제약이 2020 미국 소화기학회(DDW)에서 차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프라잔’에 관한 국내 임상3상 데이터를 최초로 공개했다고 6일 밝혔다.

▲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이사 사장.
코로나19로 학회는 취소됐으나 펙수프라잔의 연구결과는 상위 10%의 우수 포스터로 선정돼 2일부터 전자포스터(e-Poster) 형식으로 발표됐다.
대웅제약이 자체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프라잔은 위벽에서 위산을 분비하는 양성자펌프를 가역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을 갖는 P-CAB 제제다. 역류성식도염(GERD)에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PPI의 차세대 약물이다.
대웅제약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임상3상을 마치고 현재 여러 산 분비 관련 적응증 획득을 위한 추가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연구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대상으로 국내 25개 병원에서 진행한 임상3상 결과다. 임상 결과, 펙수프라잔은 8주까지 내시경상 점막 결손 치료에서 99%의 높은 치료율을 나타냈으며 환자가 약을 복용할 때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적은 양호한 내약성과 안전성을 확인했다.
내시경 치료율과 증상 개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위산분비 억제제 효과를 보인 것이다.
투여 초기부터 주, 야간에 상관없이 즉시 가슴쓰림 증상이 개선했으며 위식도역류질환의 비전형적 증상 중 하나인 기침 증상도 개선됐다. 특히 증상이 심한 환자에게 투여할 때 비교군인 ‘에소메프라졸’보다 3배 많은 환자들에게서 가슴쓰림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이사 사장은 “임상3상의 증상 개선 데이터를 바탕으로 펙수프라잔을 계열 내 최고(Best-in-Class)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발표 결과를 통해 앞으로 중국, 미국 등의 글로벌시장에서 펙수프라잔의 빠른 상업화를 위한 활발한 파트너링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